유치원에서 아이가 자기 주장이 너무 강하다는데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유치원을 다니고 있는 아이입니다. 평소 자기 주장이 강한 편이긴 한데 유치원에서 그런 모습을 보여서 친구들과 갈등을 겪는 경우가 있다고 하네요. 어떻게 지도하는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자기 주장이 강하다면 양보하고 배려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게끔 지도해 주시고, 다른 친구들의 의견이 틀린 게 아니라 다르다는 걸 알게 해주시면서 존중을 알게끔 해주세요. 관련 일화를 다룬 그림책이나 애니메이션을 활용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자기 주장이 강한 아이들은 종종 주변 사람들과의 갈등을 겪기도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적절한 지도를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단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올바르게 표현할 수 있도록 가르쳐주세요. 예를 들어 "나 화났어" 대신 "내 장난감을 빼앗겨서 속상했어"라고 말하도록 유도해보세요. 이렇게 하면 상대방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불필요한 갈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법을 가르쳐주세요. 이를 위해서는 역할놀이를 하거나, 책을 읽어보는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대화와 협상의 기술을가르치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이가 자신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상대방의 의견을 경청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해주세요. 또한, 서로 합의점을 찾는 과정을 함께 연습해보세요. 그리고 규칙과 질서를 지키는 법을 가르치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이가 정해진 규칙을 지키면서도 자신의 주장을 펼 수 있도록 이끌어주세요.
만약 아이가 친구와의 갈등을 겪고 있다면,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중재자 역할을 맡아주세요. 이때, 양쪽 당사자의 의견을 모두 듣고, 서로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아이가 잘한 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세요. 이를 통해 아이가 자신감을 가지고 더욱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도 방법을 꾸준히 실천하면 아이가 자기 주장을 하면서도 타인을 배려하고, 사회적으로 성숙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자기 주장이 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아이들의 성향에 따라서 다르다고 합니다. 하지만 단체생활에서 이런 성향이 강하면 아이들과 어울리기가 힘들겁니다. 따라서 아이들에게는 서로 화합하고 배려를 하는 방법을 알려주셔야 되겠습니다. 서로 양보를 하고 자기 물건이더라도 나눠서 쓸 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러한 교육이 되지 않으면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아주 이기적인 아이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니 참고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남의 말을 듣지 않을때, 어느 누구보다도현재 아이는 부모님들에게 자신에 대해서 감정적으로 공감받기를 원하고 있을겁니다. 가장 먼저 공감을 해주세요. 또한 나쁜말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안된다고 훈육을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대체할 수 있는 말과 행동들을 조언해주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고 감정을 인정해주세요.
하지만 다른 사람의 의견도 존중 해야 하기 때문에
모두 함께 행복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지 물어보면서 타협과 협상에 대해서 알려줍니다.
본인의 하루 동안 감정에 대해 일기를 쓰면서 본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감정을 올바로 표현 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유치원에서 협동이나 타협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친구와 의견이 다를 때는 차례대로 말하고 서로 양보하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강한 자기 주장을 지도하려면 먼저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고 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동시에 다른 사람의 의견동 존중해야 한다는 점을 가르쳐 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자기 주장을 존중하며녀서도 균형을 찾기 위해서는 먼저 아이의 의견을 듣고 이해해주세요. 그런 다음 상황에 맞는 타협을 제안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도 고려하도록 유도하세요. 역할 놀이를 통해 협력의 중요성을 가르치고, 긍정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모델링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