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소탈한하늘소43
소탈한하늘소4323.03.27

금리와 채권가격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보통은 금리가 오르면, 채권가격은 떨어진다고 하더라구요, 근데 금리와 채권가격이 보통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금리가 오리면, 채권이자가 높아져서, 채권의 가치가 더 높아지는것이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금리에는 발행시의 액면금리인 '명목금리'와 실제로 채권을 통해 수익을 얻게 된 금액을 기준으로 하는 '실질금리'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채권의 발행시에 표시되는 '명목금리'는 기준금리와 동일한 방향인 '비례'관계를 가지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하지만 '실질금리'의 경우는 '채권의 거래가격'과 관련이 있는데, 기준금리의 방향과 '실질금리'의 방향은 반대의 관계를 가지게 됩니다.

    채권이라는 것은 '차용증서'로서 타인에게 돈을 빌리는 행위이다 보니 예금보다는 리스크가 높은 상품입니다. 그렇기에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예금금리 인상에 따라서 예금금리보다 더 높은 금리로 타인에게 돈을 빌려야 하게 됩니다. 그럼 자연스럽게 발행되는 '명목금리'는 앞서 말씀드린대로 기준금리와 '비례'관계를 가지게 되면서 상승하게 됩니다. 하지만 새롭게 발행되는 채권의 발행금리가 높을수록 자연스럽게 전에 발행하였던 '저금리 채권'의 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여기서 채권의 가격이라고 하면 '액면가'가 아닌 채권이 거래되는 '시장 거래가격'을 의미하는 것인데, 채권 시장 거래가격과 금리와의 관계를 이해하기 쉽도록 예를 들어서 설명 드리도록 할게요.

    1. 2021년 1월에 100만원짜리 2년만기 2.5%짜리 채권이 발행되는데 당시 기준금리는 0.5%

    2. 2022년도에 기준금리가 상승하여 4%

    3. 앞으로 금리가 더 오를 것으로 예측하여 손해를 보더라도 파는게 좋다고 판단

    4. 100만원짜리 채권을 98만원에 2%로 할인해서 판매

    위의 사례를 보게 된다면 채권을 구입한 사람 입장에서는 98만원에 채권을 샀지만 실제로 이 채권은 100만원이며, 만기에는 100만원 + 2.5%의 이자를 지급하게 받게 됩니다. 그렇기에 만기에는 원금 98만원에 (100만원-98만원)의 차익금 2만원과 이자 2.5만원을 받아서 실제 수익률은 4.59%의 수익률을 거두게 됩니다.

    여기서 채권의 발행 이자율인 2.5%는 '명목 금리'이라고 하며, 저렴하게 사서 만기에 받은 수익률 4.59%는 '실질 금리'이라고 하게 됩니다. 예금금리와 채권가격 그리고 채권의 '실질금리', '명목금리'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기준금리인상 - 채권가격 하락 - 실질금리상승 [신규발행 채권 '명목금리'는 상승]

    • 기준금리하락 - 채권가격 상승 - 실질금리하락 [신규발행 채권 명목금리'는 하락]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와 채권가격은 일반적으로 반대로 움직입니다. 이는 채권 시장의 기본 원리에 기인한 것입니다.

    채권은 발행 시에 일정 금액을 투자자들로부터 빌려오는데, 이때 발행 가격은 채권의 이자율, 즉 금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만약 채권 발행 시의 이자율이 높다면, 투자자들은 더 많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때는 채권 가격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만약 시장 금리가 상승하면, 이자율이 높은 새로운 채권이 발행되므로, 기존 채권은 더 적극적으로 팔리지 않게 됩니다. 이 때문에 기존 채권의 수요는 감소하며, 이에 따라 채권 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반대로 시장 금리가 하락하면, 이자율이 낮은 새로운 채권 발행이 이루어지므로 기존 채권은 더 큰 가치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기존 채권의 수요는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채권 가격은 상승하게 됩니다.

    따라서, 시장 금리와 채권 가격은 서로 반대로 움직이는 것입니다. 이러한 원리를 이해하면 채권 시장의 상황에 따라 어떤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쉬워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