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금리와 채권 가격과의 상관관계
채권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 가격이 떨어지는 원리에 대하여 쉽게 설명좀 해주세요?
설명을 들어도 이해가 잘 안돼서요.
이번 SVB사태가 한국 금리 인상 요인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의 가격이라는 것은 채권이 발행된 '액면가'가 아닌 '채권이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인 채권 거래가격'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보통 신규채권의 발행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기발행되었던 금리가 낮은채권의 거래 가격은 하락하게 되며, '금리-채권거래가격'과의 상관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금리 인상 - 신규발행 채권의 금리인상 - 기발행 채권 거래 가격 하락
기준금리 하락 - 신규발행 채권의 금리하락 - 기발행 채권 거래 가격 상승
위와 같은 채권의 거래 가격과 신규 채권 발행 금리와의 관계를 이해하기 편하시도록 예를 들어서 설명 드리도록 할게요.
2021년 1월에 100만원짜리 2년 만기 2.5%짜리 채권이 발행 [기준금리는 0.5%]
2022년도에 기준금리가 상승하여 신규 채권 4%로 발행
앞으로 금리가 더 오를 것으로 예측하여 손해를 보더라도 기존에 발행된 채권은 파는게 좋다고 판단
금리가 낮은 기발행 채권 100만원짜리 채권을 98만원의 거래가격으로 2%로 할인해서 판매
위와 같이 신규 발행 채권의 금리 상승에 따라서 기존에 발행되었던 저금리 채권의 메리트가 하락하게 되면서 채권의 거래가격은 하락하게 되고, 반대로 금리가 하락하게 되면 기존에 발행되었던 채권은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채권의 거래가격은 상승하게 됩니다.
다만 SVB사태는 금리인상에 따라서 해당은행이 파산하였기 때문에 미국으로서는 더 이상 추가적인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경기침체가 발생할 것이라는 위기감을 심어주었기 때문에 오히려 SVB사태로 인해서 금리가 떨어지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은 발행시 시장금리를 반영하여 지급이자율을 결정합니다. 시장금리가 상승할 경우 신규로 발행하는 채권은 기존 채권보다 높은 이자율을 지급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낮은 이자율을 지급하는 기존 채권은 신규 발행채권보다 가치가 떨어지게 되고 시장에서 기존 채권의 매각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금리와 채권가격은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즉, 채권금리가 올라갈수록 채권가격은 내려갑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채권은 일종의 대출증서로, 발행된 채권은 이자를 지급하면서 만기일에 원금을 상환해야 합니다. 그리고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나 정부는 이자와 원금 상환을 보장하기 위해 발행한 채권에 대한 이자율을 결정합니다.
이때 채권금리가 올라간다는 것은,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나 정부가 지급할 이자가 높아진다는 뜻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채권이 발행될 때는 높은 이자율이 적용되기 때문에, 기존에 발행된 채권은 이자율이 낮아진 상황이 됩니다.
따라서 기존에 발행된 채권의 가치는 새로운 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채권의 가격은 채권의 이자율과 반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기존에 발행된 채권의 가격은 채권금리가 올라갈수록 하락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100만원짜리 10년 만기의 채권을 발행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채권의 이자율은 연 5%이며, 이자는 매년 지급됩니다. 그리고 채권 발행 후 5년이 지난 후 채권금리가 연 6%로 올라갔다고 해봅시다. 이때 같은 기간의 만기를 가진 6% 이자율의 새로운 채권이 발행된다면, 그 채권은 연 5% 이자율의 기존 채권보다 높은 이자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기존 채권의 가치는 새로운 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락하게 되며, 이에 따라 기존 채권의 가격도 하락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