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의료상담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의료상담
단아한망둥어55
단아한망둥어5521.08.14

신장에 혹생기면 100%신장암입니까?

최근에 복부초음파검사를 받었는데 우연하게 신장혹을 발견하게되었습니다 9개월전부터 옆구리에 미세한통증이 시작되었구요 최근에는 통증이 좀심해졌고 등쪽도 통증이 생겼습니다 요즘은 옆구리보다 등쪽통증이 더심합니다 혹시 신장암증상? 두려운마음으로 전문의답변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신장에 생긴 종양은 크게 악성종양 (암)과 양성종양 (악성이 아닌 종양)으로 나뉩니다.

    복부 초음파 검사에서 발견된 종양에 대해 특별한 언급이 없었다면 단순 낭종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낭종 (물혹)은 크기나 모양, 격막의 유무에 따라서 분류합니다. 단순 물혹의 경우에는 대부분은 자연적으로 사라지지 않고 모양과 크기가 유지되는 경우가 많아 치료가 필요 없으며 생활습관과의 연관성도 낮습니다.

    더불어 물혹 자체가 신장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드뭅니다.

    처음 발견된 경우 크기나 모양 변화 여부 확인을 위해 1년 후 추적검사가 필요할 수 있으며

    모양이 비특이적이거나, 격막으로 나눠진 낭종의 경우 더 짧은 간격의 추적관찰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권유받으신 추적관찰 기간 (특별한 언급이 없었다면 1년 후) 복부초음파로 변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추적검사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의학에 100%는 없습니다. 신장에 혹이 있다면 그것은 양성일 가능성도 있고 악성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확률을 따지기 보다는 신장에 있는 혹에 대해서 조직 검사를 시행하여 악성 여부를 하루 빨리 판단하고 악성이 맞다면 그에 맞는 치료를 하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확률은 중요치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혹이 무조건 신장암은 아닙니다. 단순이 양성종양, 낭종일 가능성이 더 높으며 신장암일 경우에는 혈액검사에서도 수치변화가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영상검사만으로 신장암으로 진단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신장의 물혹은 50세가 넘어가면 50%에서는 증상 없이 발견될 정도로 흔하답니다. 당연히 물혹의 대부분은 양성이고 아주 소수만 암으로 진단이 되지요. 물혹은 통증이 거의 없습니다. 등쪽 통증이라면 물혹보다는 근육통일 가능성이 더 높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조건 신장암이라고 보기 어려우며 신장 물혹일 가능성이 높긴 합니다.
    신장에 생긴 물혹(simple cyst)은 옆구리 통증이나 혈뇨와 같은 증상이 없다면 치료가 불필요합니다.
    그러나 신장의 물혹이 계속 커지거나 증상이 심하시다면 수술과 같은 치료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3개월 또는 6개월 후에 다시 초음파를 시행하여 물혹의 크기를 관찰하시고 치료여부를 결정하실 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진료를 위해 신장내과나 비뇨기과 내원하셔서 상담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8.16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신장에 발생하는 혹은 굉장히 다양하며 100% 암인것은 아닙니다. 정확한 것은 조직검사를 해야 확진이 가능하며, 양성인 종양도 많으니 검사를 먼저 해보시길 바랍니다. 양성이더라도 크기가 크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대부분은 양성질환입니다.

    악성의 가능성은 영상검사에서 특징적인 소견들이 있씁니다.

    가장 정확한것은 조직검사입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신장에 혹이 생긴다고 해서 100% 신장암은 아닙다 아닙니다 그것보다 오히려 물혹이 있을 가능성이 더 큽니다 신장에 혹이 있으면 전문 클리닉에서 치료 받고 치료 받으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대부분의 단순 신낭종은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고 정기적으로 추적 검사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하지만 크기가 너무 커서 관련 증상이 나타날 경우 치료가 필요합니다. 단순 신낭종의 치료법은 신장이 위치하는 옆구리에 구멍을 내고 도관을 넣어 내부의 용액을 배출하고 그 도관을 통해 약물을 주입하여 낭종을 유착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만일 낭종성 신장암이 의심되는 경우는 신장을 절제하는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경과/합병증

    다낭성 신증에서는 낭종이 커지면서 신장 조직을 압박하고 이에 따라 수신증이나 신성 고혈압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FAQ

    Q. 신장 낭종은 크기가 얼마 이상일 때 수술해야 하나요?
    A. 크기만을 가지고 수술을 결정하지는 않습니다. 낭종으로 인한 합병증이 발생하였거나 영상 소견상 악성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Q. 특별한 증상이 없다면 수술하지 않고 두어도 괜찮은가요?
    A. 단순 낭종의 경우 증상이 없으면 경과 관찰할 수 있습니다.

    Q. 신장 낭종이 재발할 수도 있나요?
    A. 한번 발생한 낭종은 일반적으로 없어지지 않으며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낭종의 숫자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신장 낭종을 경피적으로 흡인하거나 수술적으로 제거한 이후에도 낭종이 재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양성종양일 경우 암이 아닙니다. 보통 물혹이라고 해서 양성 종양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크기가 크지 않고 주변 조직을 압박하지 않는다면 특별한 수술을 하지는 않고 경과관찰을 하게 됩니다. 즉 주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하여 크기가 커지는지 통증은 없는지 검사를 하게 되며 대부분은 평생 큰 문제 없이 지나갈 수 있습니다.

    다만 양상이 암과 같은 침습 양상이 보이고 통증등이 있다면 조직검사를 통해 확진하고 그에 따른 치료를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통증이 나타났다고 하니 검사를 한번 받아보는 것을 추천드리며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암이라고 할 수 없으며 암은 쉽게 생기지 않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