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블폰 수혜 기업같은 경우에는 어떤 기업들이 있는가요
우리나라에서 핸드폰을 가장 잘 만드는 회사는 삼성전자인것 같아요 그리고 삼성전자
같은 경우에는 특히 폴더블폰을 잘만드는 기업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 폴더블폰이
많이 팔리면 가장 수혜받는 기업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시장이 성장하면 가장 큰 수혜를 받는 기업은 폴더블폰에 들어가는 핵심 부품을 공급하는 국내 중소형 부품 기업들입니다. 삼성전자뿐만 아니라 향후 애플 등 다른 글로벌 제조사들이 폴더블폰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게 되면 이들 부품 기업들의 수혜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힌지 관련 기업.
힌지는 폴더블폰을 접었다 펼 수 있게 하는 핵심 부품으로 폴더블폰의 내구성과 디자인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KH바텍, 파인엠텍
폴더블 디스플레이 관련기업.
폴도블폰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접히는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소재 및 부품을 공급하는 기업들입니다.
세경하이테크, PI첨단소재, 코오롱인더스트리, 덕산네오룩스
이 외에도 폴더블폰의 여러 부품을 공급하는 다양한 기업들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폴버들폰 수혜기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삼성전자의 신모델 스마트폰이 잘 팔리게 되면
삼성전자의 협력 업체들에게도 그 수혜가 돌아가게 되는데
그런 협력업체에는 에어리퀴드, 코아시아, DK코퍼레이션, 후성, 패널옵토디스플레이 등이 있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폴더블폰 시장 확대의 직접 수혜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가 대표적입니다.
부품 측면에선 UTG의 비에이치, 폴더블 힌지의 세경하이테크, 접착소재의 덕우전자 등도 주목받습니다.
디자인, 소재, 디스플레이, 베터리 기업까지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수혜 가능성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 현재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은 삼성전자가 주도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 점유율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삼성은 매년 Z 시리즈(폴드, 플립)를 통해 폴더블 시장을 확대해왔고, 국내 부품사들의 기술력 또한 글로벌 기준에 맞춰 상향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파인엠텍, 세경하이테크, 인터플렉스, 비에이치가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가 폴더블폰을 만드는 것은 맞는데, 역시나 부품은 다른 기업에서 만들기 때문에 화면접히는 기술이 핵심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회사나 우리만드는 회사의 주가도 같이 올랐습니다. 우리나라기업의 경우 휴대폰 안에 들어가는 연성구조의 회로를 만드는 비에이치나 힌지 부품을 만드는 파인테크닉스와 같은 기업이 수혜를 입었습니다. 유리를 코팅하는 코오롱인더스트리나 원익 ips외.같은곳도 수혜를 입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1명 평가삼성의 폴더블폰 관련 협력사는 여러 기업들이 있습니다. KH바텍은 폴더블폰의 힌지를 공급하며 삼성전자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에이치는 폴더블폰용 연성회로기판을 삼성디스플레이에 공급하고 있으며 도우인시스는 유리기판 초박막 강화유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의미가 있는 기업으로는 폴더블폰에 빠지지않고 들어가는
접히는 부분의 힌지 부품입니다.
다른 부품들은 일반 스마트폰을 생산할 때도 들어가지만 힌지는 폴더블폰에만
들어가는 특수 제품이라는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디스플레이 관련 부품소재로서 대표적으로 CI필름을 공급하는 코오롱인더가 있으며 FPCD관련된 소재를 납품하는 업체중 이녹스첨단소재가 대표적인 폴더블폰 공급사중에 하나입니다.
그리고 힌지와 관련되어서 세경하이테크와 KH바텍이라는기업이 있으며 이외에도 도우인시스 파인엠텍 유티아이라는 기업들이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