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법률
예리한돌고래206
예리한돌고래206
21.10.12

형사소송법을 학습 중인 학생입니다. 재심청구사건에 대한 무죄추정의원칙 부분에 대해 궁금합니다.

이재상/조균석 교수님의 형사소송법 교재로 학습 중인 대학생입니다.

다름 아니라 재심청구사건에 대하여 무죄추정의원칙은 교수님마다 의견(학설)이 나뉜다고 교수님께서 말씀하셨는데, 아직 법학전문대학원생이 아닌지라 자세하게 말씀하지 않으신 듯 합니다.

'유죄판결이 확정된 경우가 명백한 이상 재심청구가 있어도 피고인에게 무죄가 추정될 수는 없다.'라는 의견은 백분 이해가 됩니다. 재심이유인 '형사소송법 제420조 5호'에 의하면 무죄등을 인정할 명백한 증거가 새로 발견된 때에만 인정되기 때문이고, 이것 자체로 확정된 유죄판결을 바꾸지는 않으며, 재심개시결정 이후에는 심급에 따라 재판이 새로 개시되기에 무죄추정의원칙이 적용된다는 것은 이해가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법리에 대해 다른 의견이 있을 수 있나? 라는 의문이 생깁니다. 위에 말씀드린 내용이 너무 당연다고 생각되기에 그런 것 같습니다. 혹시 재심에 있어 무죄추정의원칙을 적용하는 것에 대한 다른 학설이나 판례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