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도마닦는캥거루217
도마닦는캥거루217
24.10.26

토목 공사할때 지진에 대비는 어떻게 하는건가요?

우리나라도 이제는 지진에 대해서 안전한 나라가 아닌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토목 설계나 공사를 할때도 이것도 반영이 되어야 할것 같은데

어떻게 대비를 하는지 궁금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효진 전문가입니다.

    지진에 대비하여 내진설계를 합니다. 지진은 연직력이 아닌 수평력이므로 이에 대해 보강 설계를 합니다. 아무래도 철근과 콘크리트의 양이 증가합니다. 그런 측면에서 보면 굳이 내진 설계가반영되지 않아도 단면이 크면 지진에 대한 저항성은 자연스럽게 증가합니다. 나무위키에서는가령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의 벽 두께는 16cm이지만 국내 원전은 120~150cm라고 합니다. 이는 북한의 포탄 공격을 감안해서 그렇다는데, 이는 잘못된 해석입니다. 방사능 차폐콘크리트는 본래 벽의 두께가 매시브합니다. 건축물이나 교량 등에는 부속시설울로서 면진 장치가 들어갑니다. 면진 장치는 용어처럼 지진을 면하는 장치로서 지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장치이며, 일종의 감쇄 장치입니다. 이처럼 기본적으로 이중, 삼중으로 지진에 대비하여 설계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지진에 대비한 내진 설계는 특별한 구조의 설계라기보다는 지진이 일어났을 시의 자체 하중과 횡압력에 버틸 수 있도록

    구조물을 더 튼튼하게 짓는 것입니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경우 철근을 더 많이 넣어 하중 강도를 높이거나 기둥 등의

    지지 기반을 추가하는 등의 설계방식을 내진 설계라고 부릅니다. 내진구조 자체는 지진에 견딜 수 있지만 진동이 건물에

    그대로 전해지기 때문에 가구가 쓰러지거나 가스관이 파열되는 등의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건물의 재사용을 위해 흔들림

    을 상쇄시키는 건축기술개발이 일본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면진이나 제진 같은

    지진력을 감쇄시키는 특별한 설계 방식이 늘어나고 관련 특허도 증가하는 편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