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싹싹한크낙새154
싹싹한크낙새15423.01.31

콜금리 뜻이 무엇인지 궁금해요!

금융용어 중 콜금리 뜻이 무엇인가요?

금융용어는 뜻을 봐도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아주 간단히 어떤 뜻인지 설명해주실분 계신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봉수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일시적으로 자금이 부족한 금융기관이, 자금이 남는 다른 곳에 자금을 빌려달라고 요청하는 것이 콜(call)이며, 이러한 금융기관간에 발생한 과부족(寡不足) 자금을 거래하는 시장이 콜 시장이다. 잉여자금이 있는 금융기관이 콜 론(call loan)을 내 놓으면 자금이 부족한 금융기관이 콜 머니(call money)를 빌리는데, 이럴 때 형성되는 금리를 콜 금리라고 한다.


    콜 금리는 재정자금의 동향이나 개인 기업의 현금수요 등을 배경으로 한 금융시장의 수급사정에 의해서 변동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그동안은 사실상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통제해 왔다. 따라서 경기과열로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면 콜 금리를 높여 시중 자금을 흡수하고 경기가 너무 위축될 것 같으면 콜 금리를 낮추어 경기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세우는 등 매달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하고, 통화안정증권이나 국채를 시중은행과 사고 파는 방식으로 시중의 자금량을 조절해 왔다.


    그러나 콜 금리가 자금수급사정에 관계없이 목표수준에서 거의 고정되면서 콜 금리의 시장신호 전달 및 자금배분 기능이 약화되고, 그로 인해 단기자금거래가 콜 시장에 과도하게 집중되어 RP 등 기일물 단기금융시장의 발달이 크게 저조하자, 한국은행은 2008년 3월부터 정책목표금리를 콜 금리에서 한국은행 기준금리로 바꾸고, 기준금리 목표에 맞게 7일물 RP매매를 통해 조절하도록 했다. 콜 금리 목표는 운용목표금리 기능을 계속 수행하지만, 콜 금리는 기준금리에 맞게 시장에서 자동 조정 되도록 하여 콜 금리의 시장성 회복을 도모하였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은행 재직 중으로 해당 질문에 대해서 답변 드리도록 할게요

    콜금리라는 것은 2008년도에 중앙은행과 시중은행 사이에 거래되는 RP가 기준금리로 활용되기 전까지 1999년도~2007년도까지의 기준금리 역할을 한 금리체계입니다. 콜금리는 금융기관들이 영업 활동 중에 자금이 부족한 경우나 남는 경우에 30일 이내의 초단기 자금으로 서로간에 대여나 차입을 해주었는데, 이를 'call'이라고 불렀습니다.

    이러한 콜금리는 곧 시중은행의 금리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정리가 가능합니다.

    • 돈이 없을 때 타 은행에서 콜금리로 높게 차입 - 시중은행 금리 상승

    • 돈이 남을 때 타 은행에게 콜금리로 낮게 대여 - 시중은행 금리 하락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시적 자금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금융기관간에 단기자금을 대여하는 것을 콜거래라 하며 콜거래시 적용되는 금리를 콜금리라고 합니다.

    콜금리의 수준은 단기자금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단기금리인 CP금리나 CD금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