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향기로운딱따구리238
향기로운딱따구리23823.09.14

이순신 장군은 거북선을 만들 때 어떻게 만든 건가요?

제가 요즘 역사 공부를 하면서 이순신 장군에 관해서 궁금한게 있는데요 이순신 장군은 거북선을 처음 만들 때 어떻게 생각을 하고 거북선을 만든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15

    거북선과 관련하여 임진왜란의 와중에 이덕홍이 제작을 건의한 ‘귀갑선’이 주목됩니다. 그는 왜적들의 장기가 조총으로 대표되는 ‘철환’에 있다고 지적하면서, 왜적들이 성세를 올리는 것이 바로 이것 때문이라고 하였습니다. 이덕홍이 생각하기에 왜적의 ‘철환’을 막는 방법은 왜적들이 육지에 올라서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최선책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그는 두 가지를 고안하였습니다. 하나는 왜적의 배가 육지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포구에 ‘침수진목전’을 설치하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가 바로 ‘귀갑선’의 제작이었습니다.

    이덕홍이 생각한 ‘귀갑선’의 제도는 다음과 같았다. “귀갑선의 제도는 등 부분에 창검을 부착하고 머리 부분에 쇠뇌를 숨겨 두고, 허리 부분에 작은 판옥을 만들어서 사수가 그 가운데 들어갈 수 있게 합니다. (판옥의) 곁으로는 쏘는 구멍으로 통하고, 아래로는 배의 중심부에 통하게 한 다음, 가운데에 총통과 큰 도끼를 싣었습니다. 그리하여 때려 부수거나 포를 쏘아 대고, 쏘거나 들이치면 적들이 비록 많이 몰려오더라도 반드시 (우리 편을) 어찌하지 못할 것이다.” 이순신의 거북선과 상당히 유사한 내용임을 알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순신이 직접 거북선을 개발했고 이에 직접 탑승했을 거라는 통념이 있으나 사실 조선 수군의 주력은 판옥선이고 이순신도 거북선을 처음 개발한 인물이 아닙니다.

    조선 수군은 건국 직후부터 왜구의 침입에 대항해 투자와 신형함 개발을 했지만 조선에서 기존 규정에 없는 새로운 군함을 만든다는 것은 지휘관의 결단을 요구하는 일이었으며 그 결단을 이순신 장군이 내렸습니다.

    거북선은 고려 말부터 개발하기 시작했고 조선 초기 태종과 세종때에도 거북선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태종실록 13년 2월 5일 기록에 임금이 임진강을 건너다가 귀선과 왜선이 서로 싸우는 모양을 구경했다는 구절이 나옵니다.

    이순신 장군은 거북선을 발명했다기 보다 거북선을 제대로 활용할수 있는 전술을 개발한 사람으로 기존의 거북선 모양을 바탕으로 그 위에 철갑을 씌우고 여러 기능을 보완해 많은 대포를 장착할 수 있게 발전시켰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거북선은 갑자기 만들어진 배가 아니며 삼국시대부터 축적된 기술에 의해 발전에 발전을 거듭한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신라- 조선기술, 고려- 검선 화포기술, 조선초-판옥선 조선기술 및 수군의 역사 오랫동안 우리나라의 오랜 역사를 거쳐 발전되어 왔습니다.

    태종때 만들어졌다는 거북선의 설계도를 우연히 접하고 그것을 창의적이고 합당하게(과학기술도 포함) 제작시키고 개발하고 만든 전세계 최초의 철갑선입니다. 만든시기는 16세기 권관 나대용의 도움을 받아 제작되었으며 괴력 역시 엄청나게 강했다고 기록되어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순신이 왜 거북선을 만들어 내기 전에는 우리는 판옥선이라고 하는 조선 시대의 기본적인 전투함만 있었습니다. 하지만 판옥선은 충격에는 강하나 그 속도 면에서는 약점이 있었습니다. 결국 판옥선의 담점인 크고 무거워 느린 전함의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돌격선이 거북선을 나대용을 통해서 만들게 된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