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22.05.03

아스피린은 어떻게 혈전을 용해시켜주나요?

나이
29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안녕하세요.

아스피린은 제가 알기로는 감기약에 들어있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러한 아스피인이 어떻게 혈액응고를 막고 혈전을 용해시켜주는지 궁금합니다.
어떤 메커니즘이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트롬복세인 A2는 혈소판응집의 강력한 촉진제인데, 이것의 생성을 위해서는 cyclooxygenase-1 이 필요합니다. 아스피린은 이 COX-1의 활성 부위를 비가역적으로 아세틸화시킴으로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항혈소판 효과를 만들어 냅니다


  • 안녕하세요. 송용호 약사입니다.

    아스피린의 작용에 대해서 궁금하시군요.

    아스피린은 말씀하신대로 소염진통제로도 쓰이지만

    혈소판응집 억제로도 사용됩니다.

    정확히는 혈전이 용해되는 것이 아닌, 혈소판이 모이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아스피린은 COX-1 / COX-2를 비가역적으로 억제하게 되는데

    COX-1을 비가역적으로 억제시 혈전 생성을 억제하게 됩니다.

    COX-2를 비가역적으로 억제하면 염증을 억제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아스피린은 제가 알기로는 감기약에 들어있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 용량에 따라 효능이 달라지는데요 - 500미리그램은 소염진통제로사용하고요


    이러한 아스피인이 어떻게 혈액응고를 막고 혈전을 용해시켜주는지 궁금합니다.
    어떤 메커니즘이 있는건가요?

    100미리그램 이하를 혈전방지약으로 사용하는데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해 줍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아스피린(aspirin)은 아세틸 살리실산(acetylsalicylic acid, ASA)이라고도 하며 살리실산이라는 물질에서 유래되었다. 살리실산은 버드나무 껍질에 함유되어 있으며 기원전(BC) 1,500년쯤의 기록이 있을 만큼 오랜 시간 사용되어 왔다. 근대에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에서 살리실산을 추출하여, 해열, 진통제로 사용하였으나 부작용이 심각하여 사용에 어려움이 많았다. 1897년 독일 바이엘사는 살리실산의 부작용을 감소시킨 아세틸 살리실산(아스피린)을 합성하였다. 아스피린은 1899년 해열 진통제로 특허가 등록되어 지금까지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스피린은 염증, 발열, 통증을 일으키는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의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1과 2(COX-1 and 2)를 억제하기 때문에 항염, 해열, 진통 작용을 나타낸다.

    사이클로옥시게나제는 혈소판의 응집을 촉진하는 트롬복산(thromboxane) A2*의 생성에도 작용하기 때문에 아스피린은 혈전의 생성도 억제한다.

    아스피린은 이 때문에 위장출혈 등의 부작용이 있다. 심혈관계 질환 치료목적으로 장기간 복용하는 아스피린(아스피린프로텍트정®, 아스트릭스캡슐® 등)은 위에서 녹지 않고 장까지 도달한 후 녹아 흡수되도록 만들어진 제제로 되어 있어 위장관 출혈 등의 부작용을 감소시켰다.

    출처 : (약학용어사전)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저용량 아스피린은 혈전을 녹여 피를 묽게하는 역할을 하는 약입니다.

    하지만 지혈을 억제하여 질환이 있지 않은 사람이 복용시 타박상시 복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멍이 잘 든다거나 찢어진 상처가 발생시 지혈이 잘 되지 않을수 있는 부작용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염이나 위내 미세 출혈이 있는경우는 아스피린 복용시 위장장애가 더 심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예방 목적으로 복용하기보다는 혈전 가족력 여부와 기저질환여부를 파악후 내과전문의와 상담한 후에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아스피린은 이미 만들어진 혈전을 용해시키지 않습니다. 혈소판이 엉겨붙지 못하게 응집을 억제하는 역할만 합니다. 심혈관계질환자에 주로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 아스피린의 경우 혈소판 응집을 억제시켜서 혈전이 생기는 것을 예방하는 약입니다.

    2. 해당 약의 경우 이미 생긴 혈전을 녹이는데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혈전을 녹이기 위해서는 혈전용해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영 약사입니다.

    1. 감기약에 일반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성분은 아세트아미노펜으로 다른 성분입니다

    2. 아스피린의 진통기능 때문에 감기약 성분과 헷갈린 것 같습니다. 아스피린 500mg은 진통제로 사용되고 아스피린 100mg는 항혈전제로 사용됩니다.

    3. 아스피린은 COX라는 효소를 억제하는데, 이 COX라는 효소는 통증을 유발하는 성분(프로스타글란딘)과 혈전을 생성하는 물질(트롬복산) 두가지 모두에 관여합니다. 따라서 이 효소를 억제하면 진통도 되고, 혈전생성도 억제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다만 용량을 다르게 써야 각각의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기를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알고계신 아스피린은 350mg이상의 아스피린이며 해열소염진통제로 사용합니다. 100mg미만의 저용량 아스피린은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여 혈액순환제로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민 약사입니다.

    아스피린은 정확하게 말하면 혈전 용해제는 아닙니다.

    혈전이 덜 생기도록 만드는 약입니다.

    혈액이 응고될때 혈소판과 혈소판이 붙어서 혈전이 생기게 되는데

    아스피린은 이 과정을 막아주게 됩니다.

    정확하게는 cyclooxygenase (COX)효소를 비가역적으로 억제시킴으로서 이런 효과가 나타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세라 약사입니다.

    아스피린의 경우 항혈전, 진통, 소염 효과 등 여러가지 효과를 복합적으로 나타냅니다. 인체 내 다양한 혈액응고 기전 중 관련 효소의 작용을 저해하여 항혈전 작용을 나타내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