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크림단팥소보로
크림단팥소보로23.03.02

을사늑약 체결에 찬성한 을사오적은 각각 누구인가요?

고종을 협박해서 을사늑약을 체결하기 위해서 대한제국에온 일본인 이토히로부미와 함께 을사늑약을 친성한 을오적은 각각 누구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1905년 을사늑약에 서명한 다섯 대신은

    박제순(朴齊純, 외부대신), 이지용(李址鎔, 내부대신), 이근택(李根澤, 군부대신), 이완용(李完用, 학부대신), 권중현(權重顯, 농상부대신) 압니다.



  • 안녕하세요. 1905년 을사늑약에 찬성하여 서명한 다섯 대신. 박제순(朴齊純, 외부대신), 이지용(李址鎔, 내부대신), 이근택(李根澤, 군부대신), 이완용(李完用, 학부대신), 권중현(權重顯, 농상부대신)을 일컫습니다.

    조선 말기 제국주의 일본은 조선을 점령하기 위하여 무력행사를 통해 청나라 세력을 꺾고(청일전쟁, 1894), 다음의 경쟁 세력인 러시아를 러일전쟁(1904. 2)으로 격파한 다음, 미국, 영국 등 열강들과 침략 상호 묵인체제를 구축하였다. 그리고는 조선의 실질적 침략인 외교권을 박탈하기 위하여 을사늑약을 체결하였다.

    당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는 주조선일본군사령관인 하세가와[長谷川好道]를 대동하고 헌병의 호위를 받으며, 어전회의에 참석한 각료들을 강압적으로 압박하여 조약에 찬성할 것을 강요하였다. 고종은 건강상 참석하지 못한 상태에서 일부 대신들이 찬성을 하였다. 참정대신 한규설은 반대하고 임금께 고하러 가다가 졸도까지 하였다. 당시 총 9명의 대신 가운데, 5명의 대신은 약간의 내용 수정을 한 다음에 최종 찬성하고 서명하였다. 그들은 박제순(朴齊純, 외부대신), 이지용(李址鎔, 내부대신), 이근택(李根澤, 군부대신), 이완용(李完用, 학부대신), 권중현(權重顯, 농상부대신)으로서, 조국을 왜적에게 팔아먹은 매국노(賣國奴)라하여 역사상 '을사오적신(乙巳五賊臣)'이라 칭한다.

    을사늑약은 외교권 포기, 통감부설치라는 내용을 담고 있어 대외적 주권을 행사할 수 없고 대내적으로 감독기구인 통감부가 설치되어 주권국가의 본질을 기본적으로 훼손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실질적으로 국가의 주권을 상실하는 의미를 갖는 조약이었다.

    그 결과 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 사설이 국민을 크게 통분시켰고, 민영환, 조병세 등은 의분을 참지 못해 자결하여 국민들의 애국심에 불을 붙였으며 이어서 을사오적(乙巳五賊)에 대한 물리적공격, 전국적인 의병운동 등이 일어났다. 이 조약의 명칭은 한때 일본이 보호조약이란 미명을 사용하였으나, 역사학적으로는 ‘제2차 한·일협약’이라 칭하고, 일반적으로는 보호란 말을 삭제하고 체결된 해를 넣어 '을사조약(乙巳條約)', 조약 체결 과정의 강압성(强壓性)을 비판하는 뜻에서 ‘을사늑약(乙巳勒約)’이라 부른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을사오적은 이완용,이지용,박제순으로 세 명이 친일 행각을 벌였습니다

    19세기 후반부터 일본은 조선의 지배권을 차지하기 위해 이웃 나라들과 전쟁을 벌였다. 1894년에는 청일 전쟁, 1904년에는 러일 전쟁을 일으켰다. 두 전쟁에서 모두 승리한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침략의 야욕을 드러냈다.

    일본이 가장 먼저 한 일은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빼앗고 본격적으로 정치에 간섭할 기구를 만드는 것이었다. 이토 히로부미는 1905년 11월 17일에 주조선 일본군 사령관과 헌병들을 데리고 어전 회의(임금이 신하들과 함께 나랏일을 의논하는 자리)에 들어와 조약을 맺자고 강요했다. 회의장 밖에서는 총칼로 무장한 일본 군인들이 시위를 벌이고 있었다.

    당시 대한 제국의 황제였던 고종은 조약에 반대했지만 일본에 정면으로 맞서지는 못했다. 그는 건강이 좋지 않다며 회의에 참석하지 않은 채 조약에 관한 일을 신하들에게 떠넘겼다. 오늘날의 국무총리와 같은 참정대신 한규설은 끝까지 강하게 반대했지만, 회의장에 있었던 이완용, 이지용, 박제순, 이근택, 권중현 등 다섯 명의 대신들이 조약서에 서명했다. 이후 이들은 ‘을사오적’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들이 서명하여 을사조약(을사늑약)이 체결되면서 대한 제국은 외교에 관한 모든 일을 할 때 일본의 허락을 받게 되었다. 일본은 통감부를 세우고 외교뿐 아니라 정치까지 일일이 간섭했다. 그 공로로 을사오적은 승승장구했다. 이들은 1910년에 한일 강제 병합이 이루어지자 일왕으로부터 은사금을 받았다. 은사금이란 일본이 대한 제국을 합병할 때 도움을 준 데 대해 고맙다는 뜻으로 준 돈을 뜻한다. 또한 이들은 일본의 벼슬을 받고 귀족의 작위까지 얻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을사오적은 1905년 을사늑약에 찬성하여 서명한 다섯 대신으로 박제순, 이지용, 이근택, 이완용, 권중현 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이토가 주도하여 이완용, 이지용, 박제순, 권중현, 이근택의 5대신이 을사오적이 되어 을사늑약 체결을 강요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을사늑약의 체결에 동의한 다섯 명의 내각 대신은 외부대신 박제순(朴齊純), 내부대신 이지용(李址鎔), 군부대신 이근택(李根澤), 학부대신 이완용(李完用), 농상공부대신 권중현(權重顯)이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을사오적이란 조선 말기 일제의 조선 침략 과정에서, 일제가 1905년 을사늑약을 강제 체결할 당시, 한국측 대신 가운데 조약에 찬성하여 서명한 다섯 대신 박제순(외부대신), 이지용(내부대신), 이근택(군부대신), 이완용(학부대신), 권중현농상부대신)을 일컫는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을사오적은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에서 을사늑약의 체결을

    찬성했던 학부대신 이완용, 군부대신

    이근택, 내부대신 이지용, 외부대신

    박제순, 농상공부대신 권중현의 다섯

    명의 매국노를 일컫는 말이다.

    -출처: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