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D라는 온도계는 어떤 원리로 측정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자격증 공부중인 30대 중반 여성입니다. 온도계 부분을 공부하다가 RTD온도계는 어떤 원리로 측정이 되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RTD는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s의 약자로 말 그대로 저항을 이용해서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저항이 올라가고 이 수치를 온도값으로 표시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RTD(저항 온도 탐지기)는 온도 변화에 따라 저항 값이 변하는 금속의 특성을 이용해 온도를 측정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은 백금이나 니켈이며, 온도가 증가하면 금속의 저항 값도 일정 비율로 증가하는 선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측정된 저항 값은 미리 칼리브레이션된 표를 통해 온도로 변환됩니다. 이 원리를 이용하면 매우 정확하고 안정적인 온도 측정이 가능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호 전기기능사입니다.

    RTD는 저항을 측정하여 온도를 계산합니다. 일반적으로 2선식,3선식,4선식으로 회로가 구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기기사입니다.

    RTD는 보통 백금온도센서라고도 하며 PT100, PT1000 이렇게 규격을 부릅니다.

    백금의 온도에 따른 저항치가 변하는것을 거꾸로 환산하여 온도로 읽는것으로 PT100이면 0도에 100옴으로 시작하고, PT1000은 0도에 1000옴부터 시작합니다.

    JIS와 DIN규격으로 나뉘며, DIN(독일규격)는 PT100기준 1도에 0.385옴씩 변하고, JIS(일본)규격은 0.3916옴씩 변하는거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기기사입니다.

    RTD 온도계는 금속의 전기 저항이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해 온도를 측정합니다.

    RTD 센서는 주로 백금, 구리, 니켈과 같은 금속을 사용하며, 온도가 올라가면 금속의 저항이 증가하고 내려가면 저항이 감소합니다.

    이를 통해 저항값을 측정하고 온도로 환산하여 정확한 온도 측정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