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열기구는 어떤 원리로 하늘을 날수 있는 건가요?

열기구를 보면 특별한 장치도 없는거 같은데 하늘을 나는 모습을 보면 신기 하던데

열기구는 어떤 원리로 하늘을 날수 있는 건지 궁굼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검소한오랑우탄282
    검소한오랑우탄282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열기구 내부에는 열을 가해주고 있습니다. 이는 공기는 열을 받으면 밀도가 작아지고 무게가 작아져 상승하려는 성질을 이용한 것인데 상승하려는 공기는 열기구를 공중으로 상승시키기에 열기구가 공중을 날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열기구는 공기 중의 열 기운을 이용하여 부유하는 항공기입니다. 열기구는 가벼운 소재로 만들어져 있으며, 안에 가스를 채웁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가스는 헬륨입니다.

    열기구를 날리기 위해서는, 열기구 내부에 있는 공기를 가열하여 가스의 온도를 높여야 합니다. 가열된 가스는 상승 기동력을 얻게 되고, 이로 인해 열기구가 부상하게 됩니다. 열기구의 상승 속도는 가열된 공기의 온도와 열기구 안의 가스 양에 따라 결정됩니다.

    열기구가 부상한 후에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제한적입니다. 일반적으로, 열기구는 상승과 하강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지만, 좌우로 이동하는 것은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열기구를 조종하는 것은 바람의 방향과 세기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열기구는 커다란 공기주머니의 아랫부분이 뚫려있다. 그곳으로 강한 불꽃을 이용해 뜨거운 열을 공급하면 내부공기의 온도와 체적이 증가된다. 즉 기구 안의 공기는 외부공기보다 가볍게 돼 부력이 발생하고, 이 부력을 이용해 하늘을 오를 수 있습니다

    온도로 기체를 가열해 뜨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열기구에 불을 뿜어주면 올라가는 이유는 차가운 공기와 따뜻한 공기의 밀도가 달라서 그렇습니다 공기를 뜨겁게 하면 분자활동이 활발해져 부피가 늘어납니다 부피가 늘어나면 단위 면적당 밀도가 낮아집니다 밀도가 낮아지며 무게가 가벼워저 뜨거운 공기가 위로 올라갑니다 열기구는 이 원리를 사용하여 하늘에 뜰수있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열기구 내부에는 가열된 공기가 들어갑니다. 이 가열된 공기는 주위 공기보다 가벼워져서 부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부력이 열기구를 떠오르게 하여 하늘을 날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열기구는 풍선에 뜨거운 공기를 지속 공급해서 그 열기로 인해서 하늘어 뜨는 원리 입니다. 세부적으로 말하면 풍선에 공기를 버너와 같은 기계로 지속적으로 열을 가합니다. 그러면 열에너지가운동에너지로 바뀌면서 공기에 있는 분자들의 충돌이 늘어나면서 부피가 커지게 됩니다. 동일 압력에서 부피가 커지면 밀도 = 질량 / 부피 이므로 밀도가 작아지고 작아진 밀도에 의해서 공기가 위로 올라가려고하고 그 올라가려는 힘이 점점커지면서 열기구가 하늘로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열기구는 풍선아래에서 버너를 켜 뜨거운공기를 풍선안에 공급합니다.

    뜨거운공기는 활동성이 높아 일반공기보다 밀도가낮고 가볍습니다.

    이에따라 열기구내부 공기에 부력이 발생하며 떠오르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체는 온도가 높을수록 밀도가 작아지지요. 바로 이 원리를 이용한 것이 열기구에요.
    물에 물보다 밀도가 작은 물체를 넣으면 뜨지요?
    마찬가지로 공기에 공기보다 밀도가 작은 물체를 놓으면 떠요. 25° C의 공기 중에 50° C의 공기로 채워진 풍선을 놓으면 뜰 수 있어요.

    분 풍선 부피가 충분히 크면, 풍선과 따듯한 공기의 밀도가 차가운 공기보다 작을 수 있거든요.

    열기구 안에는 공기를 데울 수 있는 장치가 있습니다. 이 장치로 열기구 안의 공기를 데워 주위의 공기보다 온도가 높도록 만들어 공기 중에 뜰 수 있습니다.

    많이 가열하여 주위와 온도차이가 많이 날수록 높이 뜹니다.

    가열을 멈추고 조절용 냉각구를 열면 열기구 안쪽 공기 온도가 점점 내려가지. 따라서 열기구도 조금씩 하강하고.

    시간이 지나 온도가 어느 정도 낮아지면 열기구의 밀도가 바깥 공기보다 커져. 그러면 땅에 착륙하죠...간단하죠^^

    도움 되셨기를...^^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열기구의 경우 이름 그대로 열을 이용하여 올라가게 됩니다.

    열기구 내부의 뜨거운 열에 의하여 공기가 상승하게되고, 이 상승되는 힘에 의하여 기구가 올라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열기구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연소장치(Burner), 뜨거운 공기를 가두어 줄 동그란 모양의 공기주머니(Envelope), 그리고 사람이나 비행에 필요한 장비를 싣는 바구니(Basket or Gondola)로 이루어져 있다. 초기의 열기구는 공기주머니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서 밀짚과 나뭇가지 등을 태워서 종이로 만든 공기 주머니를 가열시켰다. 하지만 1950년대 이후로는 액체 프로판 가스(LPG)를 연료로 공기주머니를 가열시키고 있다. 특히 열기구에 이용되는 공기주머니는 연소장치의 열에 잘 견디고 놓은 고도에서 찢어지지 않아야 하는데, 폴리우레탄이 코팅된 나일론을 사용하고 있다.

    열기구가 떠오르게 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먼저 송풍기로 공기주머니에 찬 공기를 채워 넣는다. 그리고 나서 공기주머니가 부풀어 오르게 되면 연소 장치로 연료를 태워 공기 주머니 안의 공기를 가열시킨다. 그렇게 가열된 공기는 가벼워져서 위로 올라가게 되고 공기주머니를 서서히 들어 올리게 된다. 시간이 충분히 지나 공기주머니 안의 공기가 충분히 가열되면 공기주머니에 부력(떠오르게 하는 힘)이 생겨 열기구를 들어 올리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