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보고싶은아카시아나무
보고싶은아카시아나무

세포생물학 과목에서 노화세포에 대해서도 배우나요?

세포생물학 과목에서 노화세포에 대한 내용을 배우는지 궁금합니다! 배운다면 어느 정도까지 배우는 걸까요? 심화적인 내용도 다루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네, 세포생물학에서 노화세포는 기본적으로 다룹니다.

    세포주기, 텔로미어, 세포노화 기전 정도 배우고, 심화는 분자노화학이나 병리학에서 더 깊게 다룬답니다.`

  • 안녕하세요. 오현수 전문가입니다.

    세포분열을 배운다면 세포의 노화도 볼수 있지요.

    인간의 세포는 선형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텔로미어라는 부분이 짧아진답니다. 해당부위가 극도로 짧아지게 될경우 유전체의 안정성에 영향을 끼칠수 잇지요. 그리고 자연스럽게 spontaneous mutation 자발적 돌연변이가 쌓일수 있게 되는데 돌연변이 양상이 쌓이는것도 어찌보면 노화의 과정으로도 볼 수 있을것 같아요.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세포생물학에서는 노화세포에 대한 정의나 특징, 유발 원인정도를 기본적으로 다룹니다.

    예를들어서 텔로미어의 단축이나 DNA손상, 산화적스트레스가 세포의 노화를 유발하고,

    세포주기의 정지, 분비형 및 표현형과같은 특징을 갖는다 라는 내용을 담고있습니다.

    심화과정에서는 노화세포에대한 제거나 조직 기능저하와의 연관성, 항노화전략과같은

    연구중심의 내용을 포함하기도합니다.

    감사합니다.

  • 네, 세포생물학 과목에서 노화세포에 대한 내용을 배우게 됩니다.

    하지만 교수하시는 교수님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노화 현상 전체를 깊이 다루기보다는, 세포 단위에서 일어나는 노화의 기본 원리와 메커니즘이 중심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일 좀 더 심화된 내용을 배우고 싶으시다면 학과명에 차이가 날 수 있지만, 노화생물학(Biology of Aging) 같은 것을 수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현 전문가입니다.

    세포생물학에서도 노화 세포 또는 노화에 대해 배웁니다. 노화의 과정과 노화에 따른 세포의 변화등을 공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네, 보통 학부 수준의 세포생물학(Cell Biology) 과목에서는 노화세포를 세포주기의 제한과 관련된 개념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헤이플릭 한계에 의하면 정상 체세포는 무한히 분열하지 않고 일정 횟수(약 40~60회)만 분열 후 노화 상태에 들어가게 되며, 텔로미어 단축이란 세포 분열이 반복되면서 텔로미어가 짧아지고, 결국 분열이 멈추는 현상을 말하며, 세포주기 조절 인자는 p53, p21, p16 같은 단백질이 세포 주기를 멈추게 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즉 "세포가 무한 분열하지 못하는 이유부터 텔로미어와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 정도까지를 학부 기본 수준으로 배운다고 할 수 있으며, 심화 과정(세포노화·노화생물학 관련 전공 선택 과목)에서 노화세포가 염증성 인자, 성장인자 등을 분비해서 조직 환경에 영향을 주는 현상에 대해 배운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세포생물학 과목에서는 노화세포에 대한 내용을 일부 다룹니다. 이는 세포의 성장, 분열, 그리고 소멸 과정의 일부로, 세포가 특정 횟수 이상 분열하지 못하고 기능이 저하되는 현상에 대해 배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노화세포와 관련된 내용은 기초적인 수준에서 다루며, 심화적인 노화 기전이나 유전학적, 분자생물학적 이론 등은 노화생물학이라는 별도의 심화 과목에서 더 깊게 다루는 것이 일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