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작은셰퍼드196
작은셰퍼드19621.12.22

아이의 잘못을 교육할때 어떻게 인식시켜야 하나요

아이의 잘못 된 행동에 대해 지적보다는 어떻게 이해 시켜야 좋은 교육이 될 수 있을까요?

지적은 그 상황에서는 반성의 모습을 보이지만 하루가 지나지 않아 다시 반복될 때 어떻게 이해 시켜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잘못이 담긴 동화를 읽어주면 아이가 스스로 인식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지적은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유치원 다닌 이후로 아이의 호기심 과 장난기가 너무 심해져서 자칭 생각하는 의자를 만들어서 아이가 스스로 생각해볼 수 있게 하고 있습니다.

    부디 잘 해결 되시길 기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안쓰럽더라도 아이의 버릇과 습관은 만 2~3세를 시작으로

    만 5~7세에 이르기까지 올바르게 잡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분명하고 일관되게 꾸짖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 가장 기본적인 자세이며 아이가 아무리 울거나 떼를

    써도 부모의 마음이 약해지면 안됩니다.

    스스로 잘못을 인지할 수 있는 벌칙을 만듭니다

    말로만 훈육하게 되면 아이도 말뿐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행동에 따른 결과가 반드시 있음을 인지시켜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쁜 버릇을 고치지 않을 경우 벌칙을 주면 아이도 자신의 행동을

    뉘우치게 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훈육할 때 무조건 화내고 소리 지르면 빡 찌르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마음 상태를 확인하시고 감정에 공감을 해주신 왜 그런 행동들을 하였는지. 민주적인 대화를 통해서 아이와 함께 나눠 보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반성을 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그런 행동을 보였을 때,

    반성을 해야되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그러면서 아이가 그런 행동을 반복한다면 아이가 잘못됨을 인지시켜주시고

    바로바로 훈육을 해주세요.

    혼자 생각하는 시간도 주시는 등의 조치를 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하였을 때,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주시고

    아이의 행동이 미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이런 부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교육해주신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라면 1회성으로 무언가 수정한다는 것으 생각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성인도 1회로 수정되기는 어려운데 아이는 더욱 심할수있습니다

    항상 훈육에 있어서 중요한것은 일관성과 지속성이기에 꾸준히 훈육을 해줄필요가 있을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