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자격증

사회복지사 자격증

당근먹으면눈이좋아진다
당근먹으면눈이좋아진다

사회복지사 영역을 벗어난 일을 해야 하는경우에는 어떻게 하나요?

사회복지사라도 자기 맡은 일들이 있을텐데요. 하다 보면 자기가 하는 영역보다 더

벗어난 일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하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사회복지사가 자신의 영역을 벗어나서 일을 해야 하는 경우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소규모 기관의 경우에는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업무의 경계가 모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기관의 목표와 일치하는지 확인, 역할과 책임 명확히 하기, 전문성 확보, 협력과 조율, 윤리적 고려 등입니다.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점점 확장 되고 있으며 다양한 상황에서 유연하게 대응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한별 사회복지사입니다.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실천론에 따라 진행한다면 경계선을 짓기가 모호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도 타 분야의 전문적인 영역까지 넘어가지 않도록 연계를 중심으로 활동하심이 좋을것같습니다.

    가령 사회복지는 복지의 영역이지 보건의 영역은 아니기에 간호, 간병의 역할은 전문가에게 연계해야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더 질적으로 높은 서비스를 받게 하기 위함인거죠.

  • 안녕하세요. 안장이 사회복지사입니다.

    사복은 내담자분들과 라포형성이 가장 중요한 듯해요

    그리고 복지서비스가 주된 업무입니다

    경청해주고 지지해주고 재활 할수있도록 관심외에는 더 개입할순 없어요

    복지사는 경청이 가장 큰 지지입니다

    화이팅 응원 할게요

  • 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

    사회복지사는 자기 영역 밖의 일을 맞딱뜨리게 되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거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으로 연결해드리는 역할을 합니다. 즉 사회복지사 역시 자기 범위 내의 일을 최대한 도와드리는 것이고 자기 영역 밖의 일은 도울 수 있는 곳에 연락해드릴 수 있으면 연락을 해드리고 도울 수 있는 범위내에서 최선을 다해서 지지하면서 지원해드리고 심리적 안정과 편안함을 드리는 것이 사회복지사로서의 역할입니다. 그래서 여러 유관기관이나 도움을 드릴 수 있는 여러기관과 업체와도 상호협력할 수 있어야 하고요. 그분들과의 친분도 평상시에 잘 쌓아두어야 합니다. 그렇게 해야 도움을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를 접했을 때에도 도울 수 있는 범위내에서 도움을 드리면서 불편해하시는 부분이 해결이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