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잘나가자
잘나가자20.01.21

약과 우유를 같이 먹으면 안된다고 하는데 왜 그런거죠?

약과 우유를 같이 먹으면 안된다고 하는데 왜 그런거죠?

만약에 약 먹기 전후 어느 정도 되어서 먹어도 되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약은 보통 순수한 물과 함께 먹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모든 약이 반드시 순수한 물만 먹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 중에서도 우유와 함께 먹어도 되는 약도 있도 우유와 함께 먹지 말아야 하는 약이 있습니다.



    :무좀약=우유, 아이스크림, 제산제 금지


    무좀 등 곰팡이 균에 의한 감염을 치료하는 항진균제는 위산 작용을 억제하는 제산제, 유제품과 궁합이 맞지 않습니다. 치즈, 요구르트, 우유, 아이스크림, 제산제를 항진균제와 함께 복용하면 약효성분이 체내 흡수되지 않고 배출되므로 약효가 떨어 집니다. 약효에 영향을 받지 않으려면 이들 제품은 약 복용 2시간 이후 먹는 것이 좋습니다. 항진균제 중 (그리세오풀빈), (이트라코나졸)과 같은 지용성 약물은 음식 중 지방 성분에 녹아 약효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음식 흡수 이전인 식사 직후 바로 복용하는것이 좋습니다. 시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케토코나졸) 성분의 무좀약은 술과 상극입니다. 이 약 복용 시 술을 마시면 오심, 구토, 복부경련, 두통, 홍조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복용 중엔 금주해야 합니다.



    ;항생제=우유,커피,술 금지


    세균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는 우유, 술, 커피와 상극입니다. 약 성분중 "시플로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오플로삭신"이 함유된 "퀴놀론계" 테트라사이클린 성분의 항생제는 우유, 낙농제품, 제산제, 철 성분이 든 비타민과 함께 복용하면 약 성분이 체내 흡수되지 않고 바로 배출돼 약효가 사라집니다. 이런 음식은 항생제 복용2시간 이후 먹는 것이 좋습니다. 커피, 콜라, 녹차, 초콜릿과 같이 카페인이 함유된 식품도 항생제와 같이 복용하면 카페인이 배설을 억제해 심장이 심하게 두근거리며 신경이 예민해지고 불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메트로니다졸 성분의 항생제는 술과 궁합이 맞지 않습니다. 이 약을 복용하면서 술을 마시면 오심, 구토, 복부경련, 두통, 안면홍조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항생제를 복용할 땐 복용 후 최소 3일 동안은 알코올 섭취를 피해야 합니다. 그밖에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마크롤라이드, 설폰아마이드 성분이 든 항생제는 음식과는 큰 마찰은 없지만 약효를 높이기 위해선 식사 1시간 전, 또는 식사 2시간 후 공복상태서 항생제를 복용하는것이 좋습니다. 단 항생제 복용 후 위장 장애가 발생하면 음식과 함께 복용해야 합니다.



    ;진통제=술, 커피는 금지/그러나 우유와 함께 먹어도 무방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해열진통제는 나쁜 음식은 없지만 술과는 상극입니다. 이 약은 간 손상, 위장관 출혈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술을 달고 사는 사람은 이런 부작용 위험이 증가될 수 있습니다. 평소 자주 음주를 하는 사람은 의사나 약사 상담 후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음식물이 이 약의 흡수를 지연시키므로 신속한 효과를 위해선 공복시 복용해야 합니다. 반면 아스피린과 같은 소염진통제는 위를 자극할수 있으므로 음식이나 우유와 함께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염증 부위를 완화시키는 부신피질호르몬제도 위장장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음식, 우유와 함께 복용하면 약효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 성분이 든 복합진통제엔 카페인이 함유돼 있으므로 커피, 드링크류 등을 너무 많이 마시면 카페인 과잉상태가 돼 가슴이 두근거리고 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나타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01.22

    우유와 함께 복용하면 안 되는 약
    변비 치료제
    는 대장에서 효과를 나타내야 되기 때문에 위에서는 녹지 않도록 코팅이 되어 있다. 하지만 약알칼리성인 우유와 함께 복용할 경우 우유가 위산을 중화시켜 약의 보호막을 손상시킴으로써 약이 대장까지 도착하기 전에 녹아버리게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변비 약을 먹기 전 유제품을 먹었다면 한 시간 정도 경과 후 약을 복용하는 것이 좋다.

    항생제는 세균에 의한 감염을 치료하는 약이고 항진균제는 곰팡이균에 의한 감염을 치료하는 약이다. 이들 약 중 일부를 유제품과 함께 복용할 경우에는 약 성분이 체내에 흡수되지 않고 배출되므로 약효가 떨어진다. 그러므로 우유 등은 약과 함께 복용하지 않도록 하고 약 복용 후 2시간 정도가 지나면 마시도록 한다.

    항생제 중에서는 퀴놀론계(시프로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오플록사신, 트로바플록사신) 약물, 테트라사이클린계(테트라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약물, 항진균제 중에서는 플루코나졸, 그리세오풀빈, 케토코나졸, 이트라코나졸 등이 이에 해당된다.

    우유와 함께 복용해도 되는 약
    반면 우유와 함께 먹으면 도움이 되는 약도 있다.
    통증과 염증, 열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아스피린, 이부프로펜, 케토프로펜, 피록시캄, 나프록센, 설린닥, 아세클로페낙)는 위를 자극할 수 있으므로 우유나 음식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 좋다. 염증을 완화시키는 약물로서 알레르기나 류마티즘 증상을 완화시키는 부신피질호르몬제(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 역시 위장관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우유나 음식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