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요리조리마수리346
요리조리마수리34623.08.28

경제성장이 이루어질 때, 물가가 상승하지 않을 수도 있을까요?

흔히들 물가 상승이라고 하는것은 기업들의 생산 활동이 증가하게 되면서 국민들의 소비가 증가하게 됨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궁금해진게 물가가 꼭 상승해야만 경제가 성장하는 것인지...그렇지 않은 경우는 없는지가 궁금해졌습니다. 경제학 이론상으로라도 가능하지 않은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성장하면서 물가가 상승하지않는 용어로 골디락스라고 합니다. 최고의 경제 상황입니다. 과거 전두환정권때 이런 경제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원유와 원자재 가격이 안정적이면서 경제가 성장한다면 물가가 오르지 않고 일어날 수 있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만약 경제가 상승하게 되더라도 소비자들의 소비가 크게 늘어나지 않는다면 물가는 상승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성장은 물가상승을 동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 이유는 말씀하신 것처럼 경제가 성장하면 국민들의 소비가 증가면서 소비여력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만약에 소비가 증가하는 속도를 생산성 속도를 어느정도 커버를 한다면 적당한 물가 상승 속도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각 국의 중앙은행이 약간의 인플레이션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통화정책을 실행하기 때문에, 경기성장과 물가상승은 동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아예 성장하지 않는다면 기업들의 매출이 올라가는 것에

    한계가 있기에 물가가 성장하지 않고 기업들의 매출만 계속하여

    올라가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가 침체에서 상승으로 돌아설때 아무래도 필연적으로 발생하는게 물가상승이긴 해서요 물가가 상승한다는거 자체가 경기가 좋아서 소비증대로 인한것이니 필연적인게 아닌가 싶네용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성장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아무래도 필연적으로 통화의 팽창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소비가 증가하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의 상승은 필연적이라고 보시면 좋아요


  • 안녕하세요. 김형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경제가 성장한다 = 공급과 소비가 동반 상승한다

    결과 : 유통되는 재화가 많아져 물가와 소득이 동반 상승된다

    라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생각할수도 있지만,

    예로, 컴퓨터의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해왔습니다. 90년대엔 가정 컴퓨터의 가격으로 인해 보급률이 낮았습니다.

    덕분에 컴퓨터를 활용한 서비스업체인 PC방은 시간당 1500원,2000원의 이용요금을 받았지만,

    경제가 성장한 현 시점에선 컴퓨터의 기술도 더 발전했으나 역으로 컴퓨터 가격은 내려가 가정 컴퓨터의 보급률이 매우 높습니다.

    이로인해 PC방 사용횟수 및 PC방 투자금액이 줄어들어 이용시간은 90년대보다 오히려 낮게 책정되어있습니다.

    기술발전, 대체제의 도입 등 외부 요인에 의해 가격은 변화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성장이 이루어지는데도 물가상승이 되지않는 경제가 평온할 상태를 골디락스라고 하여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나, 실질적으로 경제성장이 이뤄지면 물가상승이 동반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성장이 생산성의 증가와 함께 이루어진다면, 생산비용이 감소하고 제품의 생산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제품의 가격을 낮추고 물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