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관세에 대하여 어떠케 되어가는지 ?
대미관세는 어떠케 진행이되는지 궁금합니다.
또 앞으로 대한민국의 경제와 자동차, 철강 ,조선업의
전망이 어떠케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대미 관세는 중국 등 특정국에 대한 301·안보 명목 관세를 유지하며 품목별로 촘촘히 조정되는 흐름이고, 우회수입 단속도 세졌습니다. 한국에 미치는 건 자동차는 전동화 전환 속에서 현지 생산원산지 관리가 핵심이고, 철강은 232형 쿼터세이프가드 변수에 대비해 고부가 강재로 버티는 그림입니다. 조선은 lng·대형선 중심 수주가 받쳐주지만 원가와 환율 흔들리면 실적 출렁일 수 있습니다. 종합하면 대미 수출은 가능하지만 룰을 더 엄격히 지키는 게임이라 fta 원산지보조금 요건, 우회 판정 리스크를 일찍 점검해 선제 대응하는 게 살 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대미관세의 경우 일단 협상은 완료되었으나 품목관세에 대한 인하가 늦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15% 추가관세라고 보시면 되며, 이에 대하여 원산지증명서 발급 유무에 따라서 관세율이 변경될 수 있는 점 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대미 관세 문제는 최근에도 계속 불안정하게 흘러가고 있습니다. 미국이 자국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철강이나 알루미늄에 높은 관세를 유지하고 있고, 자동차 분야도 언제든 다시 압박이 들어올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이런 조치는 우리나라 산업 전반에 부담을 주는데 특히 철강과 조선업은 원자재 가격 변동과 직결돼서 수익성이 흔들리기 쉽습니다. 자동차는 관세보다 비관세 장벽 쪽, 예를 들어 환경 규제나 전기차 보조금 조건 같은 부분에서 더 영향을 크게 받는 분위기입니다. 우리나라 경제 전체로 보면 수출 비중이 큰 만큼 이런 무역 규제 강화가 성장률을 끌어내릴 수 있다는 우려가 계속 제기되고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