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Fldkwnnjjj
Fldkwnnjjj

왜 사람들은 꿈을 꾸는걸까요? 궁금해요.

꿈속에서는 현실과 전혀 다른 일이 벌어져서 신기하다.

과학적으로 어떤 작용 때문에 꿈을 꾸는지 궁금하다.

꿈이 심리 상태와 관련 있다는 이야기를 들어봤다.

악몽을 자주 꾸는 이유도 알 수 있을까 싶다.

꿈이 미래를 예측한다는 말이 정말인지 알고 싶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꿈을 꾸는 명확한 이유 하나로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수면 중 뇌 활동과 관련이 있습니다. 현재까지 과학계에서는 꿈이 기억 정리, 감정 처리 등 뇌 기능과 연관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또한 심리 상태의 반영으로도 해석되지만, 미래 예측과 같은 과학적 근거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꿈을 꾸는 원리는 뇌의 활동과 깊은 관련이 있는데요, 꿈은 우리가 잠자는 동안, 특히 REM 수면(빠른 안구 운동 수면, Rapid Eye Movement) 단계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잠은 크게 4단계로 나뉘는데, 그 중 REM 수면에서 꿈이 가장 생생하게 일어납니다. REM 수면 시기에는 뇌는 깨어 있을 때만큼 활발하게 활동하며 반면, 몸은 거의 움직이지 않게 마비된 상태가 됩니다. 이건 꿈 속에서 실제로 몸이 움직이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작용입니다. 꿈은 비REM 수면에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대체로 덜 생생하거나 잘 기억에 남지 않습니다. 꿈을 꾸는 정확한 목적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대표적인 이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번째는 기억 통합 이론으로, 낮에 겪은 정보를 재정리하고 장기기억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꿈이 생긴다는 것입니다. 두번째는 감정 처리 이론으로 스트레스나 감정을 해소하거나 재구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세번째는 무작위 신호 가설 (활성-합성 이론)으로, 뇌가 무작위 전기신호를 해석하면서 꿈을 만들어낸다는 것입니다. 꿈을 꾸더라도 내용이 잘 기억나지 않는 이유는 꿈을 꾸고 나서 깨어 있는 동안 뇌가 그것을 장기 기억으로 옮기지 않으면 곧 잊혀지기 때문이며, 특히 꿈을 꾸던 도중에 깨어나야 기억이 더 잘 나는 편입니다.

  • 사람을 포함한 동물들이 꿈을 꾸는 정확한 이유는 아직 알지 못합니다.

    하지만, 과학적으로 말씀하신 미래를 예측에 대한 부분은 과학계에서 호응을 받지 못하는 부분입니다.

    그렇지만, 심리상태를 반영한다는 가설은 상당히 많은 학자들이 주장한 내용입니다.

    그 중 가장 많은 호응을 받는 가설을 말씀드리면...

    꿈은 하루 동안 경험한 감정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억압된 무의식을 표출하는 역할을 한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또한 잠자는 동안 뇌는 낮 동안의 경험과 정보를 정리하고 장기 기억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꿈이 이 과정의 일부라는 주장이 있고, 꿈이 뇌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뇌 스스로를 자극하며 발생하는 현상이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반면 어떤 학자들은 꿈이 특별한 목적 없이 잠자는 동안 발생하는 뇌 활동의 부산물이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