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들 호명반응에 대해 궁금합니다
호명반응이 자기이름 부르면 반응하는걸로 알고있는데
바로 옆에서 누구야 하면 반응이 없는데 멀리서 또는 다른방에서 이름 부르면 곧장 오긴하거든요 괜찮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무언가에 집중하고 있을 때 부르면 잘 안 듣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나 바로 옆에서 불렀을 땐 아마 아이도 인지는 하는 것 같은 데 누가 부르는지 알고,귀찮아서 대답을 하지 않을 수 있어요
아이가 선별적으로 다른 방, 또는 멀리 있는 곳에서 불렀을 때 반응을 한다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네 그렇습니다.호명반응이 아예 한번도,한순간도 하지 못하는 아이들은 자폐스펙트럼의 성향을 갖고 있다고 의심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질문자님의 자녀분께서는 호명 반응을 부분적으로라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상한 없을 거라고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단순히 질문만 보고 판단을 하기에는 조심스럽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 호명반응이 있으먄 괜찮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오히려 옆에 있는 경우 아이가 집중력을 하느라 집중시에 못듣는 상황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몇개월인지 적어주셨다면 더 좋았을 것 같네요
우선은 조금더 지켜봐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개월수에 따라 호명반응이 다르기때문에
개월수를 댓글로 적어주셔도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몇살인지는 모르겠지만
아직 자신의 이름을 인지하지 못하여 그럴 가능성이 높습니다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생후 3개월 무렵부터는 소리가 발생하는 진원지를 추적할 수 있는 능력 또한 발달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엄마나 아빠가 아기의 이름을 불렀을 때 눈을 맞추거나 반응을 보이는 때는 언제일까요? 정상 발달 과정을 거치는 아이라면 생후 6개월 무렵부터 호명반응이 가능하다고 해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선택을 해서 반응하는것일수있습니다
반응이 있다면 크게 걱정할것은 아닐듯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단순히 호명반응을 아이가 보이지 않는다고 하여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아이가 자신이 놀이에 집중을 하거나 그럴 때에는 듣고도 못 듣는 척 할 때도 있고
다른 이상반응을 보이는지 여부와 더불어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하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을 부를때 아이가 그때그때마다 반응이 없다고 하여 큰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아이가 다른 놀이등을 하고 있거나 상황에 따라 자기를 부르는 것을 못듣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아이의 청력이 걱정이 되시면 가까운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청력에만 문제가 없다면 큰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듯 싶으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