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검사를 했는데 Blast 라는건 뭔가요?
안녕하세요.
약 2년동안 호산구증가증이 있어서,
대학병원에서 혈액검사, 알레르기검사, 염증검사, 자가면역검사(ANA) 를 했는데,
원인을 찾을수 없었습니다.
기생충약을 6개월에 1번씩 복용했는데도 호산구수치가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15~20 사이 수치를 계속 보이다가,
이유와 원인을 모른체, 호산구가 갑자기 7 정도 수치로 떨어지며 몇달동안 정상수치에 들어갔는데요.
혈액검사를 그동안 이것저것 하면서 Blast 라는게 검사항목에 있었는데,
검사를 안한건지.. 아니면 확인이 안된건지.. 검사결과가 안보이더라고요.
검사를 했으면 0 이라고 뜨거나,
또는 not 이라고 뜨거나.. 아니면 어떤 숫자가 보여야 하는데..
검사결과가 안보인건, 어떤 수치가 안나왔다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blast란 적혈구와 백혈구와 같이 정식적인 혈액 세포로 분화하기 이전 단계의 세포를 말하게 되며 보통은 거의 안보이는 것이 정상적인 소견이며 blast가 많이 늘어났다는 것은 미분화세포가 그만큼 혈액 중에 많이 있어 백혈병의 가능성을 생각해 보아야 하는 소견이겠습니다.
현재 blast 소견이 공란이거나 0이라는 것은 현재 세포의 분화는 정상적으로 일어나는 소견으로 참고하시면 될 것으로 보이나 자세한 사항은 병원에 물어보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혈액검사에서 언급된 'Blast'는 일반적으로 혈액 속 미성숙 세포를 의미하며, 특히 백혈구 계열의 미성숙 세포를 가리킵니다. 정상적인 혈액검사 결과에서는 이들 미성숙 세포가 거의 없거나 매우 낮은 수치로 존재합니다. Blast 수치가 높게 나타날 경우 이는 혈액 질환을 포함한 여러 병적 상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급성 백혈병과 같은 질환에서는 Blast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검사 결과에서 Blast라는 항목이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몇 가지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첫째, 검사 항목에 포함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병원마다 혈액검사의 세부 항목은 다를 수 있으며, 특정 검사 항목은 필요에 따라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습니다. 둘째, 검사는 이루어졌지만 결과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있어 보고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Blast 수치가 임상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수준이면 결과에 명시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현재까지 호산구 수치의 변동에 대해서도 언급해 주셨는데, 중증 호산구증가증이나 그로 인한 다른 증상이 있을 경우 해당 분야의 전문의와 상의하여 지속적인 관찰과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혹시 혈액검사의 세부 항목이나 결과 해석에 대해 더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검사 처방을 받은 병원의 전문의와 상담해 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