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동글이
동글이23.12.18

구름은 어떤성분으로 왜 만들어지나요?

구름은 왜 어떤성분으로 만들어 지는건가요??

수증기가 올라가서 생성되고 떨어지는건가요??

그럼 비가오면 많이 내리면 구름이 점점 사라지나여??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햇빛에 증발되어 생기는 수증기가 먼지 등의 물질과 응결하여 미세한 물방울이 되어 떠있는 것. 안개와 사실상 성분은 같으며, 지표면과 닿아 있는 것을 안개, 지표면과 떨어져 있는 것을 구름이라고 한다. 때문에 산 중턱에 걸린 구름은 그 산에 올라가 있는 사람에게는 안개이다. 구름을 구성하는 물 입자는 대기와의 마찰과 구름 내부의 상승기류로 인해 쉽사리 떨어지지 않는다. 만일 이것들을 이겨낼 만큼 물 입자들이 충분히 병합되었다면, 그때부터는 지상으로 떨어지게 된다. 우리가 흔히 비라고 부르는 현상이 바로 이것. 그 외에도 바닷가 파도의 물보라에서 떨어져 나온 미세한 소금 입자, 적란운 꼭대기의 빙정 등이 비를 뿌리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출처 : 나무위키 구름)

    구름이 수증기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그 수중기가 충분이 많아지면 비가 됩니다. 그렇게 되면 구름에 있는 수증기가 내리는 것이기때문에 구름이 얇아지고 사라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가 높은 고도에서 냉각되어 응결되어 만들어집니다. 이 때 수증기는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게 바로 구름의 주요 성분입니다. 그리고 구름에는 물 외에도 먼지 염화물 황산염 등의 미세한 입자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성분들이 모여 구름을 형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비가 내리면 구름에 포함된 수증기가 떨어져 구름이 사라지게 됩니다. 이렇게 구름은 수증기와 미세 입자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것이죠.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주로 수증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구 표면의 물은 증발하여 수증기가 되고, 이 수증기는 공기 중으로 올라가면서 구름을 형성합니다. 따라서, 구름은 수증기가 올라가서 생성되고 떨어지는 것입니다. 비가 많이 내리면 구름의 물방울이 떨어져나가면서 구름이 점점 사라집니다. 즉, 수증기가 올라가서 생성된 구름은 비가 내리면서 점점 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냉각되어 응결하여 만들어집니다. 공기 중의 수증기는 태양열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하여 대기 중으로 올라갑니다. 올라간 수증기는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냉각되어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응결하게 됩니다.

    구름은 크게 물방울 구름얼음 구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물방울 구름은 공기의 온도가 0℃ 이상인 경우에 형성되는 구름으로, 일반적으로 우리가 볼 수 있는 구름입니다. 얼음 구름은 공기의 온도가 0℃ 이하인 경우에 형성되는 구름으로, 눈, 우박, 서리 등의 형태로 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

    비가 오는 것은 구름에 있는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현상입니다. 구름에 있는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은 크기가 작으면 공기의 저항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공기 중에서 떠다니게 됩니다. 하지만,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커지면 공기의 저항을 이기고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비가 많이 오면 구름에 있는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많이 떨어지게 되어 구름이 점점 사라지게 됩니다. 하지만, 비가 오지 않더라도 구름은 계속해서 수증기가 공급되어 생성되므로, 구름이 완전히 사라지는 일은 없습니다.

    구름의 구성 성분은 크게 수증기입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 수증기는 구름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90% 이상을 차지합니다. 입자는 구름의 모양과 형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먼지, 소금, 꽃가루, 화산재, 생물체 등 다양한 물질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구름은 지구의 기후와 날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구름은 태양의 빛을 반사하여 지구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비, 눈, 우박, 서리 등의 형태로 강수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