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3.07.26

마누라라는 말이 조선시대에는 존경을 뜻하는 단어였다는데, 그 어원이나 쓰임에 대해 알려주세요~

지금 우리나라에서 결혼한 부인을 남편이 부를 때 마누라라는 말을 사용하잖아요. 그런데 마누라라는 말이 조선시대에는 존경을 뜻하는 단어였다는데, 그 어원이나 쓰임에 대해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재난고의 저자이자 조선 후기 학자 황윤석은 마노라를 쓴 뒤 이는 옛말의 마립간이다 라는 주석을 덧붙이고, 사도세자를 이르면서 사도 마립간 이라 쓴 뒤 주석으로 마립간이 마노라를 뜻하는 표현임을 덧붙였습니다. 즉, 마노라를 옛 말의 마립간 과 같은 뜻으로 보았습니다.

    마립간이 신라에서 유래된 순 우리말 존칭인 마루한의 한자 음차인것을 고려하면 마노라 존칭은 순우리말 극존칭이라 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마누라의 어원은 ‘마노라’ 입니다. 조선 초기 ‘삼강행실도’에 ‘마노라’라는 단어가 나타나는데, 이때는 ‘주인’의 의미로 쓰였다고 합니다 . 조선 중기 ‘계축일기’에서는 ‘대비 마노라’ ‘선왕 마노라’처럼 임금 또는 그의 가족과 관련된 명사 뒤에 붙어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었습니다. 이렇듯 남녀 구분 없이 신분이 높고 고귀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19세기 이후 ‘마누라’로 어형이 변하면서 지칭하는 의미도 바뀌었다고 합니다. 나이든 부부끼리 흔히 쓰는 호칭 중 하나인, 마누라와 영감이라는 단어는 긴 세월을 거치며 그 의미가 변하여 격이 낮아졌지만 대비 마노라(마누라), 정삼품 영감과 같이 단어가 본디 담고 있던 뜻을 다시 생각해 보면서 사용하면 좋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