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자산관리

궁금이3
궁금이3

월급의 몇퍼센트를 저축을 해야할까요?

나이
30
직업
직장인
성별
남성
근로형태
근로소득자(4대보험)
월 부채 비용
0
결혼여부
미혼
월 수입 현황
300
월 고정 지출 비용
50

안녕하세요

월급을 받게 되면 저축을 몇퍼센트 정도 해야

바람직 한지 또는 최소 몇퍼센트 이상을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월급의 몇 퍼센트까지 해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미혼이신 경우 부모님과 함께 가주하시면 70퍼센트까지

    그게 아니고 독립해서 따로 사시면 50퍼센트까지 저축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한 50%에 적금을 얘기를 하시더라고요 나머지 부분들은 입출금이 가능한 적금을 활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본인의 상황(급여수준, 주거상황, 대출여부 등)에 따라 조금씩 다르겠지만,

    돈을 한창 모아야 하는 상황이라면 50% 내외로 모으면 정말 잘 모으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만약 부모님과 거주하거나, 대출 등이 없어 특별히 돈이 많이 나가지 않으면 조금 더 늘려도 되고,

    상황이 여의치 않다면 조금 줄이는 등 조절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수입대비 저축비중은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르지만 주거비용을 기준으로 적정 수준을 생각해 볼 수있습니다.

    만약 본인의 월급에서 주거비용이 발생된다면 30-50% 수준은 저축하는 것이 좋고 주거비용이 발생되지 않는다면 50-70% 정도 저축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월급의 저축 비율은 개인의 재정 상황과 목표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월급의 20%를 저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권장됩니다. 이 비율은 긴급 자금, 투자, 은퇴 준비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재정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재정적 안정성을 위해 최소 10% 이상 저축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축을 시작할 때는 먼저 필수 지출을 고려하고, 그 후 여유 자금을 저축으로 돌리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생활비와 고정 지출을 제외한 후 남는 금액의 일부를 저축하면 보다 현실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자동이체를 설정하면 저축 습관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재정 목표에 따라 저축 비율을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단기 목표가 있다면 더 높은 비율로 저축할 수 있으며, 장기적인 투자 계획이 있다면 일정 비율을 투자에 할당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계획을 세우고 지속적으로 실천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기본적으로 최소 50%를 저축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그러나 저축을 급여의 비율로 따져서 저축하면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서 저축액이

      크게 늘 수가 없습니다

    • 따라서 소득에서 고정비용을 제외하고 모든 금액을 저축하는 방식으로 방향을

      바꾸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저축은 많이 할수록 바람직 합니다. 다만 현실적으로 소비나 돈이 필요 할수밖에 없기 때문에 저축을 월급의 60% 이상 하면 좋다고 보입니다. 그보다도 못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저축의 개념보다는 투자의 개념으로 접근한다면 가능하면 투자를 많이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젊어서 아껴서 사용해야 합니다.

  • 각 개인마다 처한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려운것 같습니다만

    질문자님의 상황이라면 200만원짜리 적금을 드는 것 추천해봅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월급을 저축하는 비율은 사람에 따라나 목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보통 소득의 20% 이상을 저축이나 투자하는 것이 좋으며 고정 지출을 제외한 저축의 비율을 6대 4 정도로 한다면 적당한 저축 비율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저는 소득에서 고정지출을 뺀 나머지 부분을 가용현금이라고 한다면 가용가능한 현금에서 50프로 이상은 저축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주변에 많이 하는 분들은 70-80프로 정도 저축을 하더라구요

    그럼 2025년에도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많이 받으세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작성하신 조건을 보면 월 300 수입에 50 고정지출이면 250만원을 가용할 수 있는데, 저라면 그 중 200만원을 적금할 것 같습니다.

    개인의 소득과 소비 습관에 따라 저축 비율은 달라지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바람직한 금액은 없습니다.

    다만 본인의 목표한 금액이 있다면 그에 맞춰 조절하는게 베스트이죠.

    딱히 목표하는 것이 없고 적절한 금액을 저축하는게 목표시라면 저는 현재 질문자님의 상황에서 실수령액의 40%정도를 저축하는 것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고정비용이 그래도 어느정도 발생되고 50%까지 하면 너무 힘드실 것 같아 마지노선인 40%를 추천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