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술 가격이 높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뉴스같은데서 현대미술 작품을 보면
무슨 의미인지도 모르겠는데 가격만 엄청 높더라고요
아무리 봐도 돈세탁 용도로밖에 안보이는데
가격이 왜이렇게 높은건가요?
일반인은 이해하지 못하는 심오한 의미가 담겨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장상돈 경제·금융/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화가의 작품제작에 들어가는 비용은 만만치 않습니다.
물론 비싼 가격이 형성되기 전의 이야기입니다만,
기본적으로 화구의 가격, 화가의 시간 비용을 합하면 최소 45만원은 족히 넘을 것입니다.
그래서 최초 그림이 팔려나갈 때, 비용보다 조금 더 높은 가격이 책정됩니다.
화가는 화랑과 가격을 합의하고 전시에 나섭니다.
화랑은 더 많은 구매자들을 초청하기 위해 마케팅을 하게 됩니다.
이 모든 비용은 그림의 최초 가격이 되겠지요.
작가의 경력이나 전시회 회수, 무엇보다 작가의 팬들이 많다면 가격은 처음부터 높게 책정될 것입니다.
그러나 누군가 이미 팔려나간 그 그림이 갖고 싶어, 이미 구입한 사람이 전시해 놓은 그림에 가격을 제시하게 되죠.
그렇게 되면, 구매한 후, 구매자가 전시한 내력이 더해지게 됩니다.
작품은 계속해서 전시회에 초대되고, 구매자는 더 많은 전시를 통해 작품을 구매하고 싶어하는 사람을 찾겠지요.
만약 1만명이 그 그림에 대하여 예술성을 부여하고 구매하려한다면, 45억이 될 수도 있지요.
45만원이 45억이 된다는 것은 이미 그 그림의 예술성을 1만명이 향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1만명은 도대체 그림에서 무엇을 보고 있는 것일까요?
예술은 유한한 인간이 살아가면서 느낄 수 있는 어떤 감정을 다시 복원시켜줍니다.
시대상을 나타내기도 하고, 일상에서는 전혀 예상도 할 수 없는 영감을 떠올려주기도 하지요.
물론 예술에서 아름다움을 찾으려면 알아야만 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사물의 본질을 꿰뚤어 볼 수 있어야 하고, 삶의 지혜와 격조도 갖추어야겠지요.
그래서 알지 못하는 사람일 지라도 '아는 척' 해야하는 경우도 있겠지요.
어떤 의미에서는 아는 사람보다, 아는 척 하는 사람에 의해 가격은 더 높은 경매가격을 차지하게 되는 것 아닐까요?
그림 한 점 안에서 어떻게 45억의 가치를 눈으로 즐긴단 말일까요?
구매자 개인의 감상이 아닙니다.
화랑에 전시되는 가격이 높은 그림은 렌탈비용이 높아집니다.
더 많은 감상을 원하는 사람이 생기고, 팬층이 생기게 되면, 화랑은 더 많은 수익을 얻게 되고, 이 수익은 다시 다음 전시를 위해 대여비용으로 지불되겠지요.
이것은 그림 한 점이 재테크로 이용될 수도 있다는 말이 될 것입니다.
화랑의 마케팅에는 가격이 높은 그림이 필요하고, 고가의 그림 역시, 화랑의 전시가 필요합니다.
둘은 서로 더 나은 마케팅을 통해 감상자와 구매자들을 무한 확대해 나가죠.
그래서 10년 주기로 돈이 되겠다 싶은 사람이 그 그림의 가격의 2배를 주고 사는 일이 벌어지기도 하죠.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유병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대 미술은 크리에이터의 창작의도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보고 해석하여 받아들이는 사람,즉 관객의 의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전에도 몇번 설명드린적 있지만,
바다위 수평선에 해가 반쯤 걸려있는 그림이 있습니다.
작가는 그것을 일출을 보며 삶의 태동, 타오르는 열정 등을 생각하여 그렸다 치죠.
그런데, 한 관객이 이 그림을 너무도 마음에 들어하는겁니다.
그는 80대의 노인인데, 자신의 인생이 저물어가는 상황과 그 그림의 분위기를 동조화 시키며 그 그림을 해가 지는 모습으로 해석했고, 찬연히 밝게 비추던 정오를 지나, 이제 하루의 마무리를 하러 저녁 노을을 뿜어대며 장렬히 저물어가는 모습이 자신의 모습과 닮아 그것에 감동했다 합니다.
여기서 궂이 작가가 "아니, 이건 일출 그림입니다. 해가 지는 모습이 아닌 해가 뜨는 모습이고, 희망과 활기가 넘치는 작품입니다." 라고 그 관객에게 설명을 하여 바로잡아줘야할까요?
만일 제가 작가라면, 오... 그렇게 해석하니 그렇게도 보이는군... 내가 그려놓고도 몰랐네. 재밌는걸? 하고 속으로 즐거워했을것같습니다. 물론, 어떤 작가는 자신의 작품 의도를 정반대로 해석하는걸 불쾌해하는 이도 있을수 있을겁니다.
제가 무슨말씀을 드리고자 하는지 아실겁니다.
어떤 그림이 있고 10명중 9명이 난해하고 낙서같은 졸작이라 평하는데, 단한명은 너무도 훌륭한 그림이고 마음에 든다 한다면, 그건 그 한명을 위해서는 최고의 작품이 되며, 그 가치는 그 한명이 매기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위의 일출 그림을 일몰 그림으로 받아들이며, 모든 가족이 먼저 가고 홀로 남은 상황에, 이제 병에 걸려 죽을날도 얼마 안남았는데, 죽기전까지 이 그림을 내 방에 걸어두고 싶다. 더불어, 내게 이런 위안이 되는 그림을 그린 작가의 예술활동을 계속 할 수 있게 힘이 되어주고 싶다는 마음에 예상가격 1천만원짜리 그림을 10억에 사고 싶다해도, 그걸 아무도 뭐라 할 수는 없단겁니다.
자.... 여기까지는 휴머니티가 담긴 따뜻한 해석이고요.
모 기업 회장이 사모은 예술품이 조단위 가치를 지닌다고 합니다.
그 회장님이 물론, 예술적 안목이 있어 사모으신것일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소설을 하나 가정해보겠습니다.
A사는 한해 수익이 10억이었습니다. 그런데, C작가에게 9억에 그림을 구입했습니다. 중간에는 B갤러리가 끼어있고요.
A사는 B갤러리에 9억을 지불합니다. B갤러리는 수수료 3억을 뗀 6억을 C작가에게 지불합니다.
그런데 알고보니 B갤러리 관장은 A사 사장의 부인이었으며, C작가는 부인의 사돈의 팔촌 동생이었습니다.
C작가와 B갤러리 관장은 A사의 자회사인 D컴퍼니에 각각 2억과 5억을 투자합니다.
상황을 간략히 볼까요?
A사는 최초10억의 수익이어서 세금을 2억 내야했습니다. (이건 단순 가정입니다. 정확한 세법은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에 따라, 영업이익과 순수익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어 나옵니다.) 그런데, 그림을 사느라 10억을 지출하였으니 수익은 1억으로 줄어들며, 세금은 그럼 1천만원 만 내면 됩니다. ( 10억 이익일때의 세금%와 8800만원 미만일때의 세금 %가 다릅니다. 정확한 계산은 얼마인데 잘못 알고 있네 운운하지 마세요. 그냥 이런 감만 잡으시라 적당히 예시용으로 든겁니다. )
B관장과 C작가도 수익에 대한 세금을 내야합니다. 그런데, D사에 투자를 했죠. 투자는 D사가 망해서 날린다고 하면 한푼도 돌려받지 못하는 계약을 하며 서류상 요건을 갖췄죠.
B관장은 1억에 대한 세금만 내면 됩니다. C작가도 1억에 대한 세금만 내면 됩니다.
그럼 원래대로 A사가 내야했던 세금 2억보다 확연히 낮은 세금이 나가게 되겠지요.
그리고, A사는 그 10억짜리 그림을 담보로 E은행에 5억 대출을 받아 사업용도로 활용합니다.
A사는, 10억 이익중 최초 -9억이 되어 1억 남아있는데, D사로 회수한 돈이 7억, 그리고 은행에 대출받은 금액이 5억, 결국 10억-9억 +2억+5억+5억 = 13억이 되지요.
E은행장은 대출 실적 올려 좋고 A사사장은 사업자금회전할 자금이 불어나니 좋죠.
E은행장은 그림엔 문외한입니다만, A사 사장과는 대학동문이며, A사 집안과 자산을 잘 알고 있어 쉽게 돈을 떼이지않는다는 확신이 있기에 빌려주는 계산이 다 서있습니다.
(또 이 글 보고 일반인이 이게 되는거구나 해서 경매장에서 1억에 산 그림을 이거 맡길테니 5천만원 빌려달라 은행에 아무리 이야기해보세요. 빌려주나...)
그리고 나중에 몇년 후 그 그림은 경매장에 20억에 되팔립니다. 그간 은행 이자 낸것 커버하고도 남죠. 어떤 의도에 그걸 구입하는지는 구입하는 사람에 따라 달라지겠습니다만...
상식적으로 생각했을때 무언가 이상한 일은 그 배후에 상식적이지 않은 일이 숨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평생 성실히 근무하고 급여 받으며 사시는 분들은 세금이 어찌 돌아가고 회사 리베이트가 어찌 돌아가고 하는 관계를 알고 싶어하시지도 않고 알지도 못하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그런데, 사회에서는 이런 일들이 빈번히 일어납니다. 참, 위의 사례는, 얼핏보면 세금포탈인데요. 이걸 법의 테두리안에서 잘 짜맞추면 엄연한 절세가 되는 사례입니다. 너무 안좋게만 보실필요는 없습니다. 그래서, 기업이 커지면 세금을 절세하고 관장하는 팀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는 현실이지요.
그런데, 이걸 너무 심각하게만 생각지 마시고요. 한번쯤 이런 경우도 있겠구나 정도로 받아들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모든 작가들과 예술품을 모으는 분들이 다 이렇단건 아닙니다. 분명 휴머니티적인 사연들이 있는 경우도 있어요. 너무 곡해하진 마시고 사고의 확장정도로만 받아들이시면 좋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