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엉뚱한나무늘보73
엉뚱한나무늘보7323.07.27

장마와 우기의 구분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근 비가 많이 오다보니, 우리나라도 우기에 들어서는건 아닌가 의구심이 드네요.

문득 궁금한데 장마와 우기의 구분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1. 장마(梅雨, Monsoon): 장마는 주로 동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주변에서 관찰되는 기후 현상으로, 비가 많이 오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6월부터 7월 중순까지 동해상에서 바람이 분산하면서 열대지방에서 습한 공기가 북상하면서 발생하는 기후 현상을 장마라고 합니다. 이때 주로 남쪽 방향으로 바람이 불어오며, 비가 많이 오고 습도가 높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2. 우기(季節, Seasonal Monsoon): 우기는 일반적으로 한 해를 여름과 겨울로 나누어 각각 기후가 다른 시기를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여름과 겨울의 기후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기후 변화를 우기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여름에는 비가 많이 오며 습도가 높아지고, 겨울에는 건조하고 추운 기후가 지배적입니다.

    한국의 경우, 6월부터 7월 중순에 동해상에서 장마가 발생하며, 이때 비가 많이 오고 습도가 높아지는 장마와 여름철에 비가 적어지고 건조해지는 여름 우기 등 두 가지 기후 변화가 복합적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우기는 여름과 겨울철의 기후 변화를 포함하여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