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성실한꽃게732
성실한꽃게73222.09.03

사망보험금이 필요할까요?? 내가 죽어서..받는 돈인데..

사망보험금이 필요 할까요???내가 죽어서 나오는 돈인데…

차라리 연금이 낫지 않나요?? 다들 설계사는 종신보험 위주로 팔라고 하는거 같습니다.

필요하다면 얼만큼 드는게 맞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3

    안녕하세요. 홍성종 보험전문가입니다.

    본인은 필요 없지만, 본인 유가족들에겐 필요합니다.

    본인사망으로 생계가 곤란해지는 가족이 있을경우에만 사망보험금 준비하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요즘 젊은 사람들 대부분은 내가 죽어서 나오는 사망보험금? 하면서 안필요 하다고들 하죠..

    그래서 새롭개 나온 종신보험은 사망하지 않아도 환급금으로 연금처럼 받을 수 있는 기능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만약 결혼을 했고 자녀가 있다면.. 사망이라는 것은 가정의 가장 큰 risk 이기 때문에 경제활동을 하는 가장에게는

    사망보험금이 필요합니다.

    당연히 사망보험금이 많을수록 좋지만.. 비싸죠. 그래서 설정하는게.. 집에 있는 부채만큼 설정해서 가입하십니다.

    그래야 가장의 사망으로 인하여 risk가 왔을때 사망보험금으로 부채를 충당하고 0부터라도 시작할수 있게요~

    빚은 물려주지 말자. 이런 마음인거죠~


  • 안녕하세요. 추보영 보험전문가입니다.

    90년대 찢어지게 가난할때 모아둔 돈은 없고 일은 위험한일을 하는데

    가장이 사망시 수입원이 없을 경우 보장자산으로 많이 가입했죠

    그당시 여성은 일을 거의 하지않는 전업주부가 많았고요

    하지만 요즘처럼 비혼 , 비출산하는 시대에 사망보험은 굳이 가입할 필요없습니다

    종신보험은 설계사와 보험회사에 가장 큰 이득을 주는 상품이라서 많이권유합니다

    정말 사망보험금을 준비하려면 정기상품으로 별도 가입하는게 저렴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필요하다면 얼만큼 드는게 맞을까요?

    : 사망보험금은 피보험자가 사망했을 때 상속인 또는 지정된 수익자가 받는 보험금으로

    피보험자가 사망시 남은 가족이 보상 받는 것으로, 피보험자가 사망후 가족들에게 어느정도 필요한지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피보험자가 월 1000만원을 벌어 생활했던 가족이라면 해당 금액을 기준으로,

    월 100만원을 벌어 생활했던 가족이라면 월 100만원을 기준으로 가입금액을 결정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규 보험전문가입니다.


    부양 가족이 없다면 종신말고 실비나 암보험 따로 드시구요

    부양 가족이 있으시다면 가족을 위해 종신보험들고 거기에 특약 추가하시고 실비 따로 안드셔도 될듯하네요



  • 안녕하세요. 박영재 보험전문가입니다.


    종신보험은 만기 환급금에 따라서 보장성, 저축성, 투자성으로 나뉠 수 있는데요.


    보장은 만기 환급금이 없거나 적고

    저축,투자성은 고정,변동 금리로 만기시 복리로 굴러가며

    목돈이 필요시에 해지하시는걸 추천드리며 사망시에 환급금을 받는것이 아닙니다.


    종신보험은 비갱신 상품으로 특약을 통해 보장을 더 받으며 좋은점이 있습니다.


    단점은 만기 이전에 해지시 원금은 보장이 안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관우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이쁜나비님의 연령이나 가족 관계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일반적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사망보험금은 주로 미성년 자녀가 있는 가족의 가장에 중심을 두고 설계하며, 미성년 막내 자녀가 독립하는 시기로 맞춥니다. 그리고 사망보험금은 가장 연봉의 3~5배 정도를 추천드립니다. 가장의 부재로 수입이 멈추는걸 가정해서 남은 배우자와 가족이 일상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금액이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싱글이시라면 질병과 상해관련 담보와 본인이 아픈경우 간병인이 필요할 확률이 높으므로 간병비 관련 담보에도 관심을 가지시길 권합니다.


    보험은 관심 분야나 직업, 가족력,설계사의 성향등에따라 다양한 설계가 가능하므로 옳고 그르기 보다는 본인의 상황에 맞고 납입 능력에 맞추는게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 되시길 바라며 일부 개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종신보험은 피보험자가 사망해야지 주계약인 사망보험금이 지급되는 사망보험입니다.

    집안의 가장이거나 주요 경제권을 가진 사람으로 남은 가족들의 경제적인 도움에 대한 목적이 없으시다면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여러 질병도 부가적으로 보장해주고 저축성도 있다고는 하지만 보장 범위가 넓은 보험을 보장형으로 다이렉트등을 통하여 저렴하게 가입하고 남은 금액으로 적금이나 연금 등을 가입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알고 계신것 처럼 종신 보험의 경우 사망을 보험 사고로 하는 보험입니다.

    이로 인해 가입기간이 길고 보험료도 어느 정도 고가의 상품들이 많습니다.

    보험회사의 경우 종신 보험 판매를 위해 많은 인센티브를 주고 있는 경우가 많아 종신 보험을 저축이나 연금 상품으로 판매하는 불완전 판매도 많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굳이 종신을 별도 가입을 하시는 것보다 건강 보험 등에 있는 사망에 대한 담보를 조금 높이는 것도 방법 일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철기 보험전문가입니다.

    요즘시대에 내가 돈을 냈는데 내가 사망하면 주는 돈이면 하실분이없으실것같긴합니다.

    요즘 트랜드도 종신보험을 꺼려하는 돈이거든요 핵심이 죽어서 나오는 돈이기때문에

    그것보다는 살아있을때 보장 받는 건강보험으로 준비하시는게 더 좋으세요.


  •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종신보험은 설계사들이 말하는 최악의 보험 TOP3 중 1위입니다.

    아마 그 설계사는 수수료를 많이 받고 싶어서 질문자님에게 그렇게 말 한 것 같은데요.

    종신보험은 절대 가입하면 안되요. 고객의 보장보다는 설계사의 수수료에 초점을

    맞춘 보험이에요.

    사망보험금이 필요하기는 합니다만 그렇게 많이는 필요없어요.

    생보사말고 손보사에서 정기보험을 가입하시는 편이 보장도 높고 넓습니다~

    보통 상해사망은 1억~3억이고 한꺼번에 할 필요는 없으세요.

    한 상품에 1억만 있어도 됩니다. 나중에 혹시라도 추가가 생길때 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질명사망은 500만원이면 충분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 안녕하세요. 김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종신보험은 본인에게 필요한보험이라기보다는

    본인 사망시 남겨진 유가족의 생계비마련을 위함이 큽니다

    그래서 그러한 위험이 일정기간에만보장받고 상대적보험료를 적게내기위해서 정기보험가입으로 설계하기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