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오늘도내일도모레도
오늘도내일도모레도23.08.15

사약을 내리는것이 존중하는 사형방식이었나요?

사형을 집행할 때 참수나 거열형같은 형태의 형을 집행하지않고 사대부나 왕족에거 사약을 내려서 집행하는것이 그들의 명예를 존중하는 방식이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사대부나 왕족에게 사약을 내려서 집행하는 것은 그들의 명예를 존중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사약은 독약을 마시게 하는 형벌로, 참수나 거열형과 같은 육체적 고통을 주는 형벌과는 달리 고통이 적고 빠르게 죽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대부나 왕족은 사약을 마시는 것을 명예롭게 여겼습니다.

    사약은 조선시대부터 시행된 형벌로, 사대부나 왕족이 중죄를 범했을 때 집행되었습니다. 사약을 받게 된 사람은 사약을 마시기 전에 마지막으로 가족과 작별 인사를 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사약을 마신 후에는 의관이 와서 시신을 검안하고 장례를 치러주었습니다.

    사약은 조선시대에 시행된 형벌 중 가장 고귀한 형벌로 여겨졌습니다. 사약을 받게 된 사람은 자신의 명예를 지키고 죽음을 맞이할 수 있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렇읍니다.

    사약은 임금님이 내렸습니다.

    사약을 마실때는 임금님 쪽으로 절을 하고 마셨습니다.

    조선은 유교를 근간으로 하고 있어 신체를 훼손하는 것을 큰 수치로 알았기 때문에 참수형이나 교수형과 달리 사대부에게는 신체를 보전할 수 있도록 독약으로 죽는 은전을 주었습니다. 그래서 사약의 사(賜)는 은사를 내린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 사형 집행 방법 중에 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장을 쳐서 죽이는 것, 고문을 해서 죽이는 것, 사지를 찢어 죽이는 것, 교수형에 처하는 것 , 사약을 내리는 것 등 중에서 그래도 가장 고통을 적게 해서 죽이는 것이 사약 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아마도 사약은 상대방을 고려 해서 그나마 제일 고통을 적게 해준다는 의미 일것으로 추정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약을 마시는 것은 조정의 입회인들만 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덜 창피했고, 무엇보다 사약으로 죽는 것은 시신이 온전하게 보존되는 형벌로, 유교 국가에서 인간답게 죽는 방법이었고, 사약을 받은 이들의 자손은 그 시신을 정당하게 수습해 매장하고 제사를 지낼수 있었으니 조선시대 양반사회에서 제사의 비중을 생각해 보면 사형수의 여건을 보장해주는 방법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약을 통한 죽음은 사형이 확정되어 국왕의 재가도 받았으나 정상참작의 여지가 조금 있거나 다소 억울한 면이 있는 죄인에게 내려졌습니다. 예를들어 나름대로 최선의 기지를 발휘하여 고을을 다스리려 하였으나 불의의 사고를 막지 못해 큰 인명 피해를 야기한 벼슬아치라든지, 본인은 역모에 가담하고 싶지 않았으나 가족을 볼모로 한 협박 등으로 마지못해 가담한 경우 혹은 말 그대로 바지사장이었던 경우 등 정상참작의 소지가 있는 경우, 혹은 대명률에 따라 16세 이상 남자의 경우, 역모에 적극 가담하지 않았다면 교형 대신 사약으로 처형하기도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실 요즘만큼 범죄자 인권을 존중해주는 시대는 없습니다

    사약은 범죄자의 명예를 생각해주는 방식은 아닙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