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알뜰한토끼288
알뜰한토끼28823.01.23

전세로 들어갈때 사기 조심해야되는게 어떤게 있을까요?

이것만 조심해도 전세사기는 안당할만한 핵심 체크 요소가 어떤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전세를 알아보려고하는데 요즘 사기가 많다고해서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1.주변 전세 시세와 매매시세 확인합니다.

    (너무 낮거나 높을 경우 의심)

    2.대출금(등기부 을구 채권최고액)+총보증금(본인 전세보증금 포함)이 주택매매시세의 70~80%를 넘어간다면 안전하지 않다고 봅니다. 가급적 피하기바랍니다.

    3.계약서 작성시 임대인진위여부확인(대리인의 경우 임대인과 통화로 확인하기, 돈 송금시도 확인)

    4.본인 전세보증금으로 임대인대출상환할 경우 계약서 특약사항에 근저당권말소 안 할 경우에 관한 문구 작성하기 / 임차인의 대항력과 우선변제권 효력이 발생하기 전 임대인이 대출을 하여 임차인이 권리변동에 불리하게될 경우 에 관한 문구작성합니다.

    5.전입신고와 확정일자 받아서 법적보호를 받습니다.(올행 6월 부터 임대차신고제도로 보증금 6,000만원 초과시 신고의무, 확정일자 자동으로 받음)

    6.불안하다면 전세보증보험 가입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 계약시에는 주변시세를 확인하여 계약을 원하는 목적물에 대한 시세를 파악하는게 중요하고, 이를 통해 시세와 근접한 전세보증금 매물은 계약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계약시 선순위 물권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여 선순위 임차권 확보가 가능한 매물에 대해서만 계약을 진행하고 잔금 이후에는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보증보험가입을 필수로 하시는게 사기를 피하는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사기가 이전에는 그 비율이 많지는 않았으나 어느순간 갑자기 터졌죠. 이전에도 주변사람들 보면 저 집을 들어가나 싶은데 들어가는 사람들이 있더라구요. 세대수가 많은 건물의 경우 계산을 일단 해보는게 중요합니다. 부동산 업자의 말이 꼭 맞는것이 아니니 전세 몇가구에 월세 몇 가구 정도를 비교해보고 내 보증금이 안전하게 받을 수 있는지 등 시나리오를 써봐야 합니다.


    공인중개사와 임대인 건물주등이 짜고 치면 정말 당해내기 어렵고 사기당하기 쉽습니다. 공인중개사의 대부분은 정말 좋은 분들이 많습니다. 그렇다고 모두 좋은사람이라고 보기는 어렵죠 그러니 꼭 권리분석등을 해보고 보증보험 가입 및 등기부등을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고 변경이 이루어 진다면 재빨리 계약했던 부동산에 방문하셔서 문의하시거나 주변 인접 부동산에도 확인 해보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