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차손과 감자차익의 정의가 무엇인가요?
기업이 결손금을 보전하고자 자본금을 없애는 것이 감자라고 알고 있는데요. 이 과정에서 감자차익과 감자차손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소재남 경제전문가입니다.
감자차익의 경우 주식회사가 결손금 보전을 위해 주식을 소각할 때 액면가보다 낮은 금액으로 매입하여 소각하면 감자차익이 발생하는 것이며 액면가보다 높은 금액으로 매입하여 소각하면 감자차손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명 평가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감자차익은 기업이 유상감자를 통해 주식을 소각할 때, 주주에게 지급한 금액이 주식의 액면가보다 낮을 경우 발생하는 차익입니다. 예를 들어, 주식의 액면가가 1,000원인데 주당 800원에 매입하여 소각했다면, 200원의 감자차익이 발생합니다. 감자차손은 기업이 유상감자를 통해 주식을 소각할 때, 주주에게 지급한 금액이 주식의 액면가보다 높을 경우 발생하는 손실입니다. 예를 들어, 주식의 액면가가 1,000원인데 주당 1,200원에 매입하여 소각했다면, 200원의 감자차손이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감자차손과 감자차익의 정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감자차손이란 자본금의 감소액보다 더 많은 돈을 주주에게
지불하게 되면 발생하는 손실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감자차익이란 감자를 하면서 자본금의 감소액보다
더 적은 돈을 주주에게 지불할 때 발생되는 차익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감자차익'
감자를 할 때 자본금의 감소액보다 더 적은 돈을 주주에게 주면 발생되는 차익입니다.
예를 들어,
액면가 100원의 주식을 주주에게 80원에 매입하면 20원이 남는데 이것을 '감자차익' 이라고 합니다.
'감자차손'
감자를 할 때 자본금의 감소액보다 더 많은 돈을 주주에게 주면 발생되는 차손입니다.
예를 들어,
액면가 80원의 주식을 주주에게 100원에 매입하면 20원 비싸게 매입하게 됩니다. 이것을 '감자차손' 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감자차손은 자본금의 감소액보다 더 많은 돈을 주주에게 지불할 때 발생하는 손실을 말합니다.
반면, 감자차익은 감자를 하면서 자본금의 감소액보다 더 적은 돈을 주주에게 지불할 때 발생되는 차익으로, 감자잉여금 혹은 자본잉여금이라고도 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자차익은 기업이 주식을 소각할 때 주식의 액면가보다 더 낮은 금액으로 소각했을 때 발생하는 이익을 말합니다.
즉 회사가 주식을 줄이는 과정에서 얻는 차익입니다.
이 차익은 회사가 잉여 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감자차손은 주식을 소각할 때 액면가보다 더 높은 금액으로 소각하면 발생하는 손해를 뜻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1. 감자차익: 감자 과정에서 자본금이 줄어들면서 주주에게 지급되는 금액이 자본금 감소액보다 클 경우 발생합니다. 즉, 주주가 받는 금액이 자본금 감소로 인한 손실보다 많을 때, 그 차액이 감자차익으로 기록됩니다.
2. 감자차손: 반대로, 감자 과정에서 자본금 감소액이 주주에게 지급되는 금액보다 클 경우 발생합니다. 이 경우 주주가 받는 금액이 자본금 감소로 인한 손실보다 적어, 그 차액이 감자차손으로 기록됩니다.
감자는 기업이 결손금을 보전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주에게 지급되는 금액과 자본금 감소액의 차이에 따라 감자차익 또는 감자차손이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