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측만증 병원진단과 살생활 불편함이 달라서 스트레스 입니다
불균형을 느껴서 병원최소3,4곳에서 x레이를 찍었는데
모든곳에서 측만증이없다고 진단받았습니다
그러나 소위말하는 애덤테스트 즉 서서등구부리기한경우 물리치료사분들이나 pt트레이너분들이
측만증이 상당하다고 합니다
병원은정상이라하고 실제테스트는 측만이라하고
답답합니다
이차이가 왜 생기는거죠?
그나마x레이상으로나온거는
골반틀어짐과약1cm정도의 다리길이차이인데
이것도어디서는 뼈길이차이라하고 어디서는
골반이틀어져 길이차이가 난다고 하고
혼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척추측만증이 의심이 되어 걱정이 있으시군요.
x-ray검사로 보시는 것이 더 정확하실 것입니다.
자세의 불균형이나 코어 근육의 약화로 인하여 테스트 시 상체가 무너지며 틀어져 보일 수도 있습니다.
양쪽 하지 길이의 차이도 사람마다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으며 2cm정도가 넘지 않으신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입니다.
평소 바른자세를 유지하도록 노력하며 규칙적인 운동으로 코어 근육을 강화시켜 나가시는 것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실제 구조적인 문제와 기능적인 문제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시는 상황으로 생각됩니다.
측만증에 의해 반드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 관절의 움직임 범위나 근육의 불균형에 의해서도 애덤테스트를 하는 경우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척추측만증이 실제 통증이나 근골격계 질환을 발생시키는 경우는 생각보다 낮기 때문에, 측만증에 원인을 두고 치료를 하시는 것 보다는 현재 몸에서 기능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에 초점을 두시는 방법은 어떨까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 지금의 각각 소견이 다르겠지만 전체적인 틀을 봤을 때는 병원에서 엑스레이 검사를 통해 나온 결과값이 가장 객관적이며 신뢰도가 더 높습니다.
병원에서 엑스레이상 측만증이 없다고 판단하는것은 측만증은 흔히 구조적/기능적 으로 판단 하게되는데 병원에선 구조적 문제(엑스레이상 뼈의 측만)가 없다고 소견이 있는것으로 보여집니다.
반대로 물리치료사, 트레이너의 의견은 아담스 테스트를 할 때 기능적(자세적)으로의 문제로 보여 측만증이라고 판단 한 것 같습니다.
다만 기능적인 문제가 나타나도 무조건 측만증이라고 할 수 없는 이유는 골반의 불균형, 다리 길이 차이, 근육의 불균형, 편한 근육의 사용 패턴 등 여러 요소가 적용이되어 기능적 측만증 자세를 나타날 수 있습니다.
물론 아담스 테스트가 측만증의 테스트는 맞지만 여러 제한과 요소가 있기에 좀 더 객관적인 부분에서 판단을 했을 땐 엑스레이상 검사를 하는것이 신뢰도가 더 높습니다.
현재 질문자님께선 측만증이 맞냐 아니냐 보단 일상생활시 불편감을 개선하는게 가장 최우선입니다.
현재 어떤 자세를 취하면 불편감이 있는지, 어떤 자세가 편한지 등등 상태에 따른 적절한 내용 전달 후 상태에 따른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배우시길 적극 추천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되셨다면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아무래도 신체검진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측정을 하는 것보다는 실질적으로 척추를 보고 휘어진 정도를 각도를 측정해보는 것이 상대적으로 정확도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두 가지 상충되는 소견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보았을 때 엑스레이 검사를 통해서 실질적으로 척추뼈의 각도를 확인을 한 병원측의 소견을 더 신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엑스레이는 뼈 구조의 변형 여부를 객관적으로 보여주지만 애덤스 테스트는 척추 및 근육의 움직임과 자세 불균형을 평가하는 기능적인 테스트입니다. 따라서 엑스레이 상으로는 측만증이 없더라도 근육 불균형이나 골반 틀어짐 등으로 인해 애덤스 테스트에서 측만처럼 보일 수 있어요 다리 길이 차이도 골반 위치 문제인지 뼈길이 차이 인지에 따라 원인과 치료법이 달라져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