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CR이 유전체 발현의 촉진하는 경우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티로신 인산화 효소 수용체는 막 수용체로 세포 내에서 연속적인 신호 전달에 의해서 세포 분열을 촉진하는 유전체 발현을 일으킬 수 있는데 GPCR도 그것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네 GPCR도 2차 전달계를 통해 전사인자를 활성화하여 특정 유전자 발현을 촉진할수 있는데요
즉, RTK와 다른 방식이지만 유전체 발현 조절이 가능하답니다.
네, 가능합니다. G단백질 결합 수용체(GPCR)는 다양한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PCR 활성화로 생성된 2차 신호 전달 물질(cAMP, 칼슘 이온 등)은 전사 인자를 활성화하여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GPCR은 티로신 인산화 효소 수용체와 다른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그래서 직접적으로 세포 분열을 촉진하지 않지만, 간접적으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세포 분열을 촉진할 수는 있습니다.
RTK는 리간드 결합 후 수용체 자체의 티로신이 인산화되어 직접적인 세포 내 신호 전달을 시작합니다.
반면, GPCR은 G 단백질을 활성화시키고, 이는 다시 이차 신호 전달자를 생성합니다. 이 이차 신호 전달자들이 다양한 단백질을 활성화시키고, 이 신호는 최종적으로 핵으로 전달되어 전사 인자를 조절하게 되죠.
예를 들어, cAMP는 단백질 인산화 효소 A를 활성화시켜 CREB와 같은 전사 인자를 인산화합니다. 인산화된 전사 인자는 세포 분열을 촉진하는 유전자의 전사를 시작하며, 이는 RTK와 유사하게 유전자 발현을 통해 세포 분열을 조절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GPCR은 RTK와는 다른 경로를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세포 분열을 유도할 수는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GPCR도 가능한데, GPCR은 G단백질을 통해서 CREB전사인자 활성, MAPK경로활성
또는 베타어레스틴 매개신호를 통해서 특정 유전자의 전사를 촉진하게됩니다.
예를들어서 베타아드레날린 수용체는 CREB경로를통해 대사, 분열관련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사례로 잘 알려져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네, 말씀해주신 것처럼 세포막수용체에 해당하는 티로신인산화효소 수용체에 신호분자로서 성장인자가 와서 결합하여 세포 내에서 연속전인 인산기 전달 과정이 나타나고 최종적으로 myc 전사인자를 활성화시키면서 세포분열을 촉진합니다. 또한 GPCR도 충분히 유전자 발현을 촉진할 수 있는데요, 다만 방식이티로신인산화효소 수용체처럼 직접적인 인산화 경로가 아니라, G단백질과 2차 신호전달자를 매개로 전사인자를 조절하는 형태입니다. GPCR이 Gs 단백질을 활성화하면 adenylate cyclase가 활성화되어 cAMP 농도가 증가하는데요, cAMP는 PKA(단백질 인산화효소 A)를 활성화시키고, PKA는 핵 내 전사인자 CREB를 인산화하며, 결과적으로 인산화된 CREB는 DNA의 CRE(cAMP response element)에 결합하여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