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북극곰의 털은 실제로 투명색에 가깝다던데 그런 이유가 무엇인가요?

북극곰의 털은 하얗다고 알고 있지만

실제로 보면 투명색에 가깝다고 하더군요

북극곰의 털이 투명색인데 하얗게 보이는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북극곰의 털은 케라틴으로이루어져 투명한색을 갖는데, 빛이 이를통과하며산란되면서 멀리서보면 흰색으로보이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투명색이기도하고, 빛이 공기중에서 털의경계면으로들어가 다시 공기중으로 나오는과정에서 반사와 굴절이라는 산란현상을일으키며 하얀색이됩니다.

    인간의 흰머리도 사실은 투명색인것과 같은이유입니다.

    이 털을이루는 케라틴단백질이 약간 투명하면서 백색을 띠기때문에 그렇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상윤 수의사입니다.

    북극곰의 털이 실제로는 하얀색이 아니라 투명에 가까운 이유는 털의 구조와 빛의 반사 방식 때문입니다. 북극곰의 털은 색소가 들어 있지 않은 투명한 속이 빈 관 모양입니다. 이 관 속으로 들어온 빛이 여러 방향으로 산란되면서 우리 눈에는 하얗게 보이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마치 눈송이나 얼음 결정이 투명한데도, 다수의 표면에서 빛이 반사되어 하얗게 보이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 북극곰의 투명한 털은 생존상 이점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북극곰의 투명한 털은 단순히 흰색으로 보여 보호색 역할을 하는 것도 있지만, 추운 환경에서 생존하는 데 중요한 단열 및 보온 기능을 가집니다.

    즉, 하얀 눈과 얼음 배경에 섞여 사냥감에게 쉽게 발각되지 않는다는 것은 기본이고, 투명한 털이 일종의 광섬유처럼 햇빛을 모아 북극곰의 검은색 피부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검은 피부는 이 태양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체온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게다가 속이 빈 털 구조는 따뜻한 공기를 가두어 단열 효과를 극대화해줍니다.

  • 북극곰의 털은 사실 투명하고 속이 비어있는 구조입니다. 빛이 이 털을 통과하면서 내부의 공기나 미세한 입자에 의해 모든 방향으로 흩어지고 반사되는데, 이 현상이 눈에 하얀색으로 보이게 합니다. 따라서 북극곰의 털은 흰색 색소를 가진 것이 아니라, 빛의 산란 효과로 인해 하얗게 보이는 것입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