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쏠라시
쏠라시24.03.23

빈혈 현기증 어지러움 왜 있는지 알려주세요

나이
37
성별
남성

농사일을 하는데 갑자기 3시간쯤 일했나 앉았다 일어나면 계속 어지럼증이 생깁니다 당뇨없고 오히려 고혈압이 가족력 있지만 고혈압은 아닙니다

지병은 따로 없는데 앉았다 일어나면 뒷목쯤이 묵직한느낌과 눈에 안압느낌과 살짝에 핑하는 어지러움 생기고 없어지고 또 앉았다 일어나면 같은증상이 10번이하정도 느꼈습니다

빈혈은 원래 없어서 과음이후 과로 한거빼곤 이런느낌은 처음입니다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자율신경계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유병률이 증가하며, 노인 인구의 약 10-30% 정도가 이 질환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일어날 때 어지러움, 일시적인 시야장애, 두통, 실신 등이 있습니다. 의학적으로는 기립 시 3분 이내에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10mmHg 이상 하락하는 것으로 정의됩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원인은 신경학적과 비신경학적 요인으로 구분됩니다. 신경학적 원인으로는 자율신경부전이 주요 원인이며,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퇴행성 변화나 당뇨병, 파킨슨병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비신경학적 원인으로는 탈수로 인한 혈압 감소나 약물 복용으로 인한 혈압 감소가 있습니다. 특히 당뇨병 환자는 혈당 관리를 철저히 하면 질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지만, 파킨슨병이나 치매와 같은 신경학적 질환은 기립성 저혈압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분 섭취와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이 필요합니다. 고혈압 약물을 복용 중이라면 의사와 상의하여 약물을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온탕이나 사우나, 갑작스러운 체위 변화, 과식과 같이 기립성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는 상황을 피해야 합니다. 이러한 생활 습관의 조정만으로도 증상이 호전될 수 있으므로, 증상이 있는 경우 의료진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증상이 나타나는 양상을 보면 오래 앉아있다 일어나는 상황에서 핑 도는 어지럼증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기립성 저혈압을 의심할 수 있겠고, 과로나 스트레스와 같은 요인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입니다.

    천천히 일어서고 무엇가를 잡고서 일어나시면 됩니다

    특별한 질병은 아니니 걱정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농사일 중 반복되는 어지러움과 불편감을 호소하고 계십니다. 앉았다 일어날 때 발생하는 증상이라는 점에서 기립성 저혈압의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빠른 자세 변화에 따른 일시적인 뇌 혈류 저하로 인해 어지러움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다만 고혈압 가족력, 두통, 목 불편감 등의 증상이 동반되어 있어 두개내 병변에 대한 감별도 필요해 보입니다. 뇌 MRI 검사를 통해 구조적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도움될 것 같습니다. 뇌혈관 질환, 두개내 압력 상승, 자율신경계 이상 등의 가능성을 평가해야 합니다. 기립성 저혈압이 의심된다면 수분 섭취를 늘리고 갑작스러운 자세 변화를 피하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될 수 있습니다. 뇌 MRI 검사 후 신경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필요한 경우 추가 검사와 약물 치료 등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 전형적인 기립성 저혈압 증상으로 보입니다. 특별히 질병 상태를 의심할 정도의 소견은 아니며 갑자기 일어나는 자세의 변화에 따른 갑작스런 혈압 저하로 인해서 발생하는 어지럼증 등 증상이 주가 되는 문제입니다. 혹시라도 심장 관련 문제가 우려스럽다면 심장내과적으로 진료 및 정밀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