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23.08.21

실내 온도의 습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저희 연구소 실험실에는 값비싼 측정 장비들이 많습니다.

때문에..항상 온도와 습도 관리에 주의를 하고 있는데..

특히, 습도로 인한 작은 부품이나 설비 장치들이 녹이 슬어 기능이 상실되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이런걸 대비해서..거의 1년 내내 에어컨을 틀어 놓는데..전력소비가 많고 낭비가 되는 느낌이 많이 듭니다.

하여, 습도를 제어하기(낮추기)위해 꼭 에어컨을 켤 필요가 있을까요?

온도가 낮으면 습도가 낮아지는 느낌이 드는데...습도는 온도와의 연관이 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습도와 온도는 서로 연관된 요소로서, 온도가 습도에 영향을 미치고 습도 역시 온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값비싼 측정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온도와 습도 관리가 중요합니다. 습도를 제어하거나 관리할 때 온도 역시 고려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습도와 온도의 연관성: 온도가 낮으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상대적으로 적게 증발하게 됩니다. 따라서 온도가 낮을수록 공기의 상대습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반대로 온도가 높으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빠르게 증발하여 상대습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이처럼 온도와 습도는 서로 반비례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2. 부품 및 장비의 영향: 습도가 높으면 부품이나 장비 표면에 이슬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이슬이 생성되면 부품 표면의 노출된 부분에서 부식이나 녹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전기 부품이나 회로에서 저항이 낮아지거나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값비싼 측정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습도를 낮추어 부품 및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작동을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3. 에어컨을 통한 습도 조절: 에어컨은 공기를 냉각시켜 상대습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공기가 냉각될수록 포화수증기량이 감소하므로 상대습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연구실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에어컨을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값비싼 측정 장비를 보호하고 안정적인 실험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습도 관리가 중요합니다. 온도와 습도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에어컨을 사용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것은 장비와 부품의 보호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

    포화수증기량이라는게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설명하자면 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포화상태에 이르렀을 때 최대로 포함할 수 있는 양인데 온도에 상관 없이 일정한 것이 아닙니다. 기온이 높을수록 포화수증기량이 높아집니다. 꼭 포화상태가 아니더라도 기온이 높으면 공기가 수증기를 많이 내포할 수 있습니다. 여름철 기온이 높은데 비가 오면 습도가 80%를 넘어가는 것도 그러한 이유입니다. 반대로 겨울철에는 습도가 매우 낮은 것도 알 수 있습니다. 장비들이 상시 작동되고 있는 곳이라면 장비에서 생겨나는 발열에 의해서도 공간의 기온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수증기가 유입된다면 습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음향 및 영상장비를 많이 사용하는 방송실(방송사)나 민감한 전기장비가 많은 실험실에서는 특히나 습기에 민감하죠. 그래서 겨울에도 에어컨을 가동하기도 합니다.



    위 그래프를 보시면 기온에 따른 포화수증기량 변화와 기온을 낮춰서 습도를 낮출 수 있는 원리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기온을 낮춰서 응결되는 수증기는 에어컨이 설치된 공간 아무 곳에나 맺히는 것은 아니고 보통 에어컨 내부 에바포레이터 코일에 맺혀서 배수관을 통해서 배출됩니다. 그리고 인버터 방식으로 중간중간 가동을 멈추는 것 보다 상시 가동되어야지 장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습도를 유지할 수 있을 겁니다. 인버터 방식의 경우 증발기(냉각기) 가동이 멈추는 동안에 습도가 높아질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아지면 물이 공기중에 녹아들 수 있는 양이 많아지게되어 습도가 함께 올라가게됩니다.

    겨울철에는 반대로 공기중의 수증기가 쉽게 액화될 수 있어 건조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습도는 온도와의 연관이 큽니다. 온도가 낮을수록 공기 중의 수증기 양이 줄어들어 습도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습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에어컨을 켜서 실내 온도를 낮추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항온항습기라고 있습니다.

    가격대는 비싸긴 한데

    연구실 장비들이 비싸다면 투자할만하다고 봅니다.

    에어컨만 틀어서는 습도가 일부 안 잡힐 수도 있습니다.

    설정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송풍기에 맺혀 있는 물기가 그대로 나와서

    습도를 올릴 수도 있게 됩니다.

    그래서 에어컨과 제습기를 같이 틀어 놓으면 제일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