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험

교통사고 과실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왜 교통사고가 나서 차량파손시(상대책임100%) 꼭 사업소로 넣어야 하나요?

교통사고 발생시 (상대책임100%) 차량을 보험회사 직원이 소개하는 정비소가 아닌

사업소로 넣어야 하나요?? 사업소가 더 잘 고쳐주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영찬 손해사정사
    이영찬 손해사정사
    중용종합손해사정

    본인 과실이 없는 사고에서 아무래도 순정 부품을 사용하여 해당 브랜드 차량만 전문적으로 수리하는

    사업소가 부품의 품질이나 서비스적인 면에서 좋습니다.

    또한 보증 기간이나 추후에 as를 받는 것에도 유리합니다.

    다만 대기 기간이 길고 공업소에 비해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지만 본인 과실이 없는 사고인 경우

    본인 부담액이 없기 때문에 사업소를 선호하고 있습니다.

  • 차량 수리는 피해자가 원하는 곳으로 가서 하시면 됩니다.

    보험회사에서 소개하는 곳으로 가셔도 되며 자동차메이커 정비센터나 평소 이용하는 업체로 가셔도 됩니다.

    아무래도 보험회사에서 소개하는 업소의 경우 피해자 입장에서 믿음이 안갈 수 도 있어 대부분 피해자가 원하는 곳으로 가서 수리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교통사고 발생시 (상대책임100%) 차량을 보험회사 직원이 소개하는 정비소가 아닌

    사업소로 넣어야 하나요?? 사업소가 더 잘 고쳐주나요?

    : 반드시 사업소에 입고할 필요는 없습니다.

    사업소는 아무래도 제조사측의 공식수리업체로 사업소가 더 잘 고친다고 할수는 없습니다.

    수리는 사업소냐, 공업사냐의 문제가 아니라, 어떤 사람이 수리를 하느냐의 문제로

    예를 들어, 사업소에서 장기간 근무하다 본인 공업사를 차린 사람과 사업소에 입사한지 2달된 사람이 수리를 한다면 누가 더 잘할까요?

    병원도 마찬가지입니다. 누군가는 대학병원을 무조건 치료를 잘한다고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대학병원에서 레지던트에게 치료를 받는 것과 대학병원교수님이 퇴사하고 개원한 일반개인병원 중 누가 치료를 잘할것인지는 생각해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