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머쓱한호박벌232
머쓱한호박벌23223.04.12

전기에서 직렬과 병렬 연결할 때의 저항 차이?

전기기기를 직렬로 연결할 때와 병렬로 연결할 때의 저항은 어떻게 변하는지 궁금합니다. 병렬일 때 저항이 감소한다고 하는데 이론적인 배경은 어떻게 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기회로에서 전기기기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할 때, 저항의 변화는 Ohm's law를 통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Ohm's law는 전류와 전압, 저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으로, 전류(I)는 전압(V)를 저항(R)으로 나눈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전압이 일정하다면 저항이 클수록 전류가 작아지고, 저항이 작을수록 전류가 커집니다. 직렬 연결에서는 전압이 분할되어 전압 손실이 생기기 때문에 전류가 감소하고, 병렬 연결에서는 각 부하에 전압이 동일하게 분배되므로, 전압 손실이 적어져 전류가 증가합니다. 이에 따라, 직렬 연결일 때는 저항이 증가하고, 병렬 연결일 때는 저항이 감소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기기를 직렬로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같아서 전류는 모든 부품을 거치면서 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전체 저항도 증가합니다. 반면 병렬로 연결하면 전류가 여러 개로 나뉘어 각 부품을 따로 흐르기 때문에 전체 전류는 각 부품의 저항이 작은 부분을 따라 흐르게 되어 전체 저항이 감소합니다. 이론적으로 병렬 연결된 회로에서는 전류의 합과 전압이 같기 때문에 오름차순으로 저항이 작은 부품일수록 더 많은 전류를 받게 됩니다. 이렇게 병렬 회로에서 전류가 부분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전체 저항이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 제품을 직렬로 연결하면 각 기기의 저항값이 합쳐져서 전체 회로의 저항이 증가합니다. 반면 병렬 연결의 경우, 각 기기의 저항값이 전체 기기의 저항값을 더한 것보다 작아집니다. 이론적인 배경은 옴의 법칙에 의해서 확인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기기를 직렬로 연결할 경우, 각 기기의 저항이 더해져 전체 저항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전기기기가 직렬로 연결되면 전류가 모든 전기기기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기기기가 많을수록 전류의 흐름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전체 저항이 증가하게 됩니다.

    반면, 전기기기를 병렬로 연결할 경우, 각 기기의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어 전체 저항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전기기기가 병렬로 연결되면 전류가 각 기기를 따로 통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기기기가 많을수록 전류의 흐름이 쉬워지기 때문에 전체 저항이 감소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저항도 전류의 직렬과 병렬과 같습니다.

    즉, 저항 역시 직렬연결 시에는 전압과 마찬가지로 그냥 더하면 되고 병렬연결 시 각각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일정하여 각각의 저항의 역수를 더한다음 다시 역수를 해주면 됩니다.

    간단하게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면 저항은 전압에 맞춰 따라가고, 병렬로 연결하면 저항은 전류에 맞춰 따라갑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직렬일경우 전기기의 저항값을 그냥 더하면 됩니다.

    병렬일 경우에는 전기기의 저항 값을 더해서 전기기의 수로 나누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