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급 설계시 직무별 레벨부여는?
직무급 설계를 준비중입니다.
각 직무기술을 완료하고 레벨별 분류를 완료하였는데
직원들이 자신에게 부여된 레벨에 대한 저항감이 걱정입니다.
유사한 사례나 돌파전략에 대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차충현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직무 평가요소를 주관적 내용이 아닌 객관적 내용으로 수치화 할 수 있다면, 근로자들의 저항이 없을 것입니다. 즉, 직무의 난이도, 책임, 능력, 작업환경 등을 모두 고려하여 이를 객관적으로 수치화 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형규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문의사항에 대하여 노동관계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바는 없음을 알려드리며, 회사 내 취업규칙 등 사규에 의해 정해질 사항임을 알려드립니다. 따라서 회사 내부의 규정을 확인하시어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이승철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알 수 없어 명확한 답변이 어려우나, 제도 초기에는 저항감이 있는 것이 당연합니다. 제도의 Plan-Do-See 전 과정에서 근로자대표를 참여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절차공정성을 확보해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전재필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레벨별 분류를 하게 된다면 직원들간에 비교가 될 것이기 때문에 반감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레벨별 분류를 하기 전 임직원들과 회의를 통하여 조율 후 결정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직무급에 대해서는 각 해당 직무에 대해 직무기술서를 먼저 만들어야합니다. 따라서 해당 직무에 대한 직무등급을 모두 나열한 후 각 직무에 따른 직무등급으로 직무급을 지급해야합니다. 직무급 도입시 직원들의 반발이 심하므로 연공급과 직무급을 섞어서 초기에 셋팅을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