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아하그렇구나생각하면 아하!!
아하그렇구나생각하면 아하!!23.03.10

장수왕의 남하정책을 펼친 이유가 무엇 인가요?

장수왕이 남하정책을 펼치면서 도읍을 국내성에서 평양성으로 옮겼다고 알고 있는데요.

장수왕은 어떠한 이유에서 남하정책을 펼치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장수왕 재위 시기가 서기 5세기 거의 내내인데


    (5세기 초기까지는 광개토대왕 재위 시기)


    이 당시 고구려와 이웃한 중국의 선비족 왕조인 북위가 중국 북부(화북 일대)를 꽉 잡고는 있었지만,


    남쪽의 양쯔강 일대에서 활동하던 한족의 유송과도 대립하던 중이었습니다.


    그래서 장수왕은 이 두 세력 사이에서 적절히 외교관계를 맺고 있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고구려 남진정책에 맞선 나제동맹>


    광개토대왕의 뒤를 이은 장수왕은

    '남진정책'을 내세웠어요. 남진정책은

    북쪽에 있던 중국 및 유목 민족들과

    친선을 유지하면서 한반도 남쪽으로

    영토를 넓히는 정책이었지요. 장수왕은 수도를 국내성에서 평양성으로 옮길

    정도로 남진정책을 적극 추진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장수왕은 '한강 유역' 즉, 오늘 날의 서울, 수도권 지역을 차지하여 소위 부족했던 '곡창지대'를 차지하기 위해서 남하정책을 보다 적극적으로 펼쳤다고 볼 수 있으며, 결국 강력한 군사력도 '경제력'에서 나온다는 것을 본능적으로 알았기에 이렇게 했다 볼 수 있습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장수왕은 7세기 말에 신라의 왕위를 계승하였으며, 그의 대표적인 정책 중 하나는 남하정책입니다.

    남하정책은 일본과의 외교적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일본으로부터 문화적인 영향을 받으면서도 신라의 독자성을 유지하는 정책으로, 신라의 국력 강화와 문화 발전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이러한 정책의 배경에는 신라의 주변 국가들과의 경쟁이 있습니다. 당나라와의 경쟁에서 밀려 작아지고 있는 신라는, 일본과의 외교적 상호작용을 통해 국력을 유지하고자 했습니다.

    또한, 이때 평양성으로 도읍을 옮긴 이유에는 다양한 설이 있지만, 주된 이유는 평안도가 신라의 중심지인 경상도와 가까워져서 왕권의 집중화와 경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남하정책과 도읍 이전은 신라가 경제적, 군사적으로 국력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한 대표적인 정책 중 하나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수왕이 고구려의 영토를 확장하고 경제력과 군사력을 키우며, 문화적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남하하는 정책을 추구하게 됩니다. 이 정책은 고구려를 고대 동아시아의 강대국으로 세우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북부는 증국의 위나라, 북제 왕조같은 강력한 국가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남쪽으로 확장해서 영토와 전략적 깊이를 늘림으로 인해, 적과의 사이의 완충지대를 만들수 있었습니다. 또한 남부는 천연 자원이 풍부한 지옥한 지대였습니다. 그리고 남쪽을 정복함으로 인해, 고구려에 새로운 병사를 확보하고, 군대를 강화할수 있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답변 드립니다.

    장수왕은 남하정책을 펼치게 된 이유는 다양합니다.

    첫째로, 17세기 중반 조선은 외세의 침략과 내부적인 불안정으로 인해 국력이 약화되어 있었습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장수왕은 남하정책을 펼쳤으며, 이는 남쪽에서 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인 지역을 확보하기 위함이었습니다.

    둘째로, 당시 중국의 치욕적인 일본 침략에 대한 반감심을 보였던 조선의 국왕들은 이를 대처하기 위해 중국과의 관계를 유지하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일본과의 갈등이 계속되면서 조선은 중국과의 연합을 강화하기 위해 남하정책을 추진했습니다.

    셋째로, 장수왕은 조선의 민생안위와 경제 발전을 위해 남하정책을 펼쳤습니다. 당시 한반도의 상업 중심지였던 한양(서울)과 함경도 등의 지역은 침략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약화되어 있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남쪽 지역으로의 이전과 개발을 추진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장수왕은 남하정책을 펼치게 되었으며, 이후 평양성으로의 이전은 남하정책의 일환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남진정책은 소수림왕때부터 추진되었는데 이보다 앞서 소수림왕의 아버지 고국원왕이 371년 평양성에서 백제 근초고왕의 군대와 싸우다 화살에 맞아 죽는 사건이 일어났고 소수림왕은 이때부터 백제에 깊은 원한을 가지고 즉위 초부터 백제를 공격학 계획을 세웁니다.

    즉위 4년 후 375년 백제를 공격해 수곡성을 빼앗은 뒤 376년과 377년에도 백제를 공격하고 같은 해 백제의 3만 대군을 물리치고 소수림왕의 뒤를 이은 고국양왕 역시 백제를 공격해 영토를 확장했는데 본격적인 남진정책이 이루어진것은 고국양왕의 아들인 광개토대왕때부터 입니다.

    391년 즉위한 광개토대왕은 소수림왕이 이룩한 정치적 안정을 기반으로 즉위 이듬해인 392년부터 적극적으로 백제공략에 나서고 그해 7월 친히 4만 군대를 이끌고 백제가 점령하고 있던 황해도 지역을 공격해 10여개의 성을 빼앗았습니다. 10월에 군사를 일곱길로 나누어 백제의 수군기지인 관미성을 공격해 20일만에 함락시켰습니다.

    이에 백제의 아신왕은 여러번에 걸쳐 고구려를 공격하나 실패하고 광개토대왕이 이끌고 온 군대에 의해 백제군 8000명이 전사하거나 포로로 잡히는 참패를 당합니다. 396년 광개토대왕이 직접 수군을 이끌고 백제의 수도를 공격해 아신왕의 항복을 받아내는 등 총 58개 성과 700여 마을을 빼앗았고 399년 아신왕이 왜와 연합해 신라를 공격하자, 신라의 구원요청에 응해 5만의 대군을 출병시켜 가야지방까지 진격해 왜군을 물리쳤습니다.

    이후 광대토대왕은 남진을 중단하고 북벌에 나서 만주는 물론 한반도 북부 전역을 장악하여 고구려를 동아시아의 대국으로 만들었고 광개토대왕의 뒤를 이어 412년 즉위한 장수왕은 다각적인 외교를 통해 안정을 이룩한 뒤, 국내성 일대에 기반을 둔 귀족세혁의 약화와 경제적 기반을 확대할 목적으로 수도를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옮깁니다.

    이후 백제와 신라로 진출하기 위해 455년 백제를 공격한 뒤 승려 도림을 첩자로 보내 백제의 국력을 피폐하게 만들었으며 475년 직접 군대를 이끌고 백제 수도 한성을 함락하고 도망치는 개로왕을 붙잡아 죽여 이로 인해 백제는 웅진으로 천도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고 장수왕은 나아가 서해의 해상권 마저 장악하고 백제와 남조의 접근을 차단합니다.

    417년 신라의 왕위계승에 개입해 눌지마립간을 옹립하고 신라와는 평화관계를 유지합니다. 그러나 신라가 백제와 나제동맹을 맺자 468년 신라를 공격해 실직주성을 빼앗고, 481년 미질부까지 진출해 7개의 성을 빼앗습니다.

    장수왕이 죽은 뒤 문자왕이 497년 신라 우산성을 , 512년 백제 가불성, 원상성을 점령하나 백제와 신라의 연합으로 일진일퇴를 거듭하고 6세기 이후 668년 고구려가 멸망하기 전까지 이러한 소강상태가 지속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장수왕(재위기: 1418년~1450년)은 조선 중기의 제4대 군주입니다. 그는 수왕 때 개시된 남하정책을 계승하여 이를 더욱 강화하였습니다. 남하정책은 조선시대 외교정책 중 하나로, 조선이 이전에 속해 있었던 고려시대에 중국의 침략과 침입에 대비해 조선이 자주적으로 남쪽으로 진출하여 여러 지역을 점령하면서 안보를 공고히 하는 것을 말합니다.

    장수왕은 남하정책을 펼치게 된 이유로, 당시 조선은 여러 외적인 위협에 직면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조선이 북방으로 진출하면서 만주족과 경계를 맞대고 있었고, 만주족과의 전쟁에 대비하여 안전지대를 북쪽에서 남쪽으로 옮기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이를 위해 장수왕은 1420년에 현재의 평양으로 도읍을 이전시켰습니다. 평양은 만주족과의 경계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안전한 지역으로 여겨졌습니다.

    또한, 장수왕은 조선의 경제력을 강화하기 위해 농업 생산성을 높이는 노력을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밭을 일정한 면적으로 나누어 개별 소유권을 인정하고, 대상은 밭을 경작하는 모든 자였습니다. 또한, 일년에 두 번의 경락시를 개최하여 농산물을 거래함으로써 농민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였습니다. 이러한 농업정책 덕분에 조선의 경제는 안정되었고, 인구도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