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
헌법재판소법 제47조(위헌결정의 효력)
③ 제2항에도 불구하고 형벌에 관한 법률 또는 법률의 조항은 소급하여 그 효력을 상실한다. <다만, 해당 법률 또는 법률의 조항에 대하여 종전에 합헌으로 결정한 사건이 있는 경우에는 그 결정이 있는 날의 다음 날로 소급하여 효력을 상실한다.>
④ 제3항의 경우에 위헌으로 결정된 법률 또는 법률의 조항에 근거한 유죄의 확정판결에 대하여는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
3항의 < >은 확정판결 기준인가요? 행위시 기준인가요?
즉 "범죄ㅡ>합헌판결ㅡ>유죄확정판결ㅡ>위헌" 순으로 진행 됐을 때 4항을 이유로 이 범죄에 대한 재심을 요구 할 수 있나요? 아니면 해당 행위는 합헌 판결 이전의 행위이니 4항에 해당하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우 변호사입니다.
질문주신 사항에 대해 답변드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행위시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판결확정일을 기준으로 판단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