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위용있는불독38
위용있는불독38

미국 3월 금리인상이 어느 정도로 이루어질까요?

실리콘밸리 은행이 무너지고 나서 채권금리의 변동성이 커져 크게 하락했습니다. 살짝 반등하는 것이 25bp를 반영하는 모습인데 전망이 엇갈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페드워치도 베이비스텝을 전망하는데 어떨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로서는 실업률이 상승하고 있고 은행들의 파산으로 인해 경기침체의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어 연준으로서는 금리인상에 대한 압박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보여집니다. 게다가 어제 6%대의 CPI값이 나오다보니 CPI의 하방이 이루어지고 있어 3월 23일 전까지 연준에게 특별한 데이터값이 추가적으로 들어올 것은 오늘 PPI밖에 없는데 해당 비중이 크지 않다고니 0.25%금리 인상이 확정적인 분위기로 가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25bp 예상합니다. SVB 사태가 엄청난 영향을 줬다고 생각됩니다. 만약 50bp를 한다고 하면 사회적 파장이 커질것 같습니다.

      이에 위험한 도박을 안할거라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물가가 6.0%로 살짝 감소하였지만 근원 물가가 오히려 오른 것을 보았을 때

      빅스텝도 예상했지만 svb 파산으로 인하여 여러 문제가 예상될 수 있으니

      파월도 한발짝 물러날 가능성이

      이번 한번은 동결 or 0.25% 정도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만

      개인적으로는 금융기관 2곳이 파산하는 등

      이에 따라서 베이비스텝을 밟을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싶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 수익률의 미래 방향은 다양한 경제 및 시장 요인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확실하게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연준이 최근 금리를 25bp 인상하기로 결정한 것은 긴축 통화정책을 암시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채권 수익률에 상승 압력을 가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실리콘 밸리 은행 붕괴와 인플레이션 압력 및 지정학적 긴장과 같은 기타 시장 위험으로 인한 여파는 단기적으로 변동성 증가와 채권 수익률 하락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신중한 접근 방식을 취하고 채권 시장의 위험과 기회를 신중하게 평가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현재 시장 환경에서 더 높은 수익 또는 더 낮은 변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대체 투자를 고려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채권 및 만기에 걸쳐 다양화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페드워치가 거의 맞으며, 금리를 빅 스텝 이상으로 올렸다가는 SVB 파산으로 인한 연쇄 은행권 위기로 번질 수 있으므로 미 연준도 베이비 스텝을 할 가능성이 가장 큰 상황이라고 봐야 합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리콘밸리 은행의 파산으로 인해 채권금리 변동성이 커지고 크게 하락한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살짝 반등하면서 25bp를 반영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전망은 엇갈리고 있는데, 페드워치도 베이비스텝(0.25%p 인상)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상황에서는 미국 경제의 변화와 국제 금융시장의 상황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채권금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빅스텝의 가능성도 있었지만 최근에는 베이비스텝과 동결가능성 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 SVB가 파산하게 되면서 연착륙을 위해 금리 인상 속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고 하고 추가적으로 이번달

        CPI도 예상대로 낮게 나오면서 금리 동결에 대한 희망이 높아졌습니다.

      • 추가적으로 이슈가 없다면 베이비스텝으로 3월 FOMC는 마무리할 가능성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제로 svp은행 파산여파와 예상에 부합하는 cpi결과가 나와 25bp를 올릴 확률이 높아졌습니다. 다만 cpi 수치가 아직은 높게 나오고 있어 향후에도 높은 수준의 금리수준은 유지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당초 빅스텝(0.5포인트 인상)을 예상했으나 최근 SVB파산 등의 여파로 베이비스텝 또는 유지를 예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나 시장 예상의 경우 미국 3월 FOMC에서는 베이비스텝(25bp)의 금리인상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현재수준에서는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준의 고민이 깊어질 것 같습니다. 0.50bp일지, 0.25bp일지에 따라서 시장의 반응이 확연히 달라질텐데요. 개인적으로는 물가를 잡으려는 의지가 더 강할 것으로 보임에 따라 0.50bp를 감행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연준이 대외적인 부분에 휘둘리는 모습을 보이고 싶어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