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1세대실비, 50대 치료이력이 많으면 4세대실비 전환 의미 없나요?
작년에 골절로 수술과 통원치료 하느라 2년 정도
걸리고 완치 판정은 받았으나 치료이력이 있고
보험료 수령도 있고 또 갱신기간 만료가 되어
보험료가 4만원대에서 8만원대로 변경되었네요.
그래도 1세대실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유지의견드립니다.4세대실손전환에서 추후 보험금청구가 많다면 개개인의 보험료반영되기에 그부분도 생각해보셔야해요.
안녕하세요. 황명희 보험전문가입니다.
8만원이 부담된다면 전환하는게 맞습니다.
정신과 이력만 없다면 전환시 문제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치료이력이 많다면 기존실비를 유지하는게 이득입니다.
4세대는 자기부담금이 크고 청구가 많으면 보험료도 다시 높아질테니까요
안녕하세요. 이원복 보험전문가입니다. 1세대 실손은 4세대 실손에 비해서는 보험료가 많이 비싼 편이지만, 병원 진료나 치료 가능성이 높은 분들에게는 매우 좋은 실손입니다. 본인부담금도 전혀 없지요. 혹시라도 질문자께서 4세대 실손으로 전환하시더라도 보험금 청구가 일정 금액을 넘으면 다음 갱신시에 보험료가 최대 300% 인상될 수도 있으며, 매년 갱신될 뿐만 아니라, 5년후에는 재가입 조건이 있어서 본인이 원하지 않더라도 새로운 실손에 강제 가입해야 합니다. 만일 새로운 실손의 조건이 더 나빠져도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건강하시고, 병원을 거의 이용하지 않는 분이라면 4세대 실손으로의 전환이 의미가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1세대 실손을 계속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좋아요와 추천이 큰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4세대 실손 전환시 가장 큰 이좀은 보험료가 저렴해지는 것입니다. 다만 보장력이 떨어짐으로 전환여부는 향후 필요성에 따라 결정하셔야됩니다.
월보험료거 부담되시면 전환을 추천드리지만 그만큼 보장율은 떨어집니다.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50대 이후부터 병원에서 치료받을 경우가 많아 1세대를 유지하는게 훨씬 유리합니다.
4세대전환은 언제든지 할 수 있어 보험료 부담이 없다면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그래도 1세대실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할까요?
: 1세대 실비보험은 자기부담금이 없거나 적은 점, 자동차사고등의 자동차보상후 추가 보상이 되는 점 등 유리한 점이 있는 반면,
보험료가 비싸긴 단점이 있으며, 가입금액이 얼마인지는 모르나, 일부 낮은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4세대 실비보험은 자기부담금이 높고, 개인별 청구이력에 따라 보험료가 할증되는 단점이 있는 반면, 보험료가 낮은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나이가 많을 수록 1세대 실비보험이 유리한 편으로 이를 유지할 것이냐, 전환할것이냐의 문제는
본인의 병원 치료에 대한 성향 즉, 병원을 자주 가거나, 가족력등이 있어 추후 병원치료 가능성이 높다면 1세대 유지를 하심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