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산부인과 이미지
산부인과의료상담
산부인과 이미지
산부인과의료상담
뽀로로
뽀로로23.07.20

반드시 제왕절개를 해야하는 상황은 언제인가요?

나이
30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출산시 반드시 제왕절개 수술을 통해 출산을 해야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들인지 궁금합니다.

그런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왕절개는 불가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제왕절개의 절대적 적응증은 다음과 같은 상황 등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중심성 전치 태반

    2) 지나치게 수축된 골반

    3) 자궁경부의 진행성 암종

    4) 통로를 막는 골반의 종양

    5) 질의 협착이나 폐쇄 등으로 인한 막힘

    6) 제대탈출

    7) 횡위

    8) 임신중독증

    그렇지만 제왕절개는 선택적으로도 진행할 수 있으며 실제로 그렇게 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아이의 위치가 거꾸로 되어있는 경우, 아이의 팔이 먼저 나온 경우, 아이가 출산 중 심박이 떨어지는 경우 등의 경우가 있겠습니다. 출산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경우가 많으니 주치의와 상의해보시기 바랍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임계홍 의사입니다.

    아두골반 불균형이나 과거에 제왕절개 과거력이 있는경우, 자궁 기능 부전 및 태반이상, 임신 합병증이 있는 경우 등입니다.


  • 안녕하세요. 제왕절개는 골반이 좁거나 문제가 있는 경우 많이 시행하고. 태아가 위치가 반대로 되어있는경우. 전치태반이나 태반에 문제가 있는 경우. 임신성당뇨나 고혈압등 임산부에게 임신합병증이 있는 경우등 다양합니다. 이외에도 원한다면 제왕절개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