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휴일·휴가

힘센동박새60
힘센동박새60

단기간 근로자 월차 부여 계산법(11일 or 8.8일 or 12일)

안녕하세요
단시간 근로자의 월차 부여 기준과 관련해 아래와 같은 상황에 대해 자문을 부탁드립니다.


회사 기본 근로조건
  • 정규직 기준: 주 5일 근무, 1일 8시간(총 주 40시간)

  • 연차 전환 전까지는 1개월 개근 시 월차 1일 부여

  • 당사 기준으로 1일 = 8시간 기준으로 운영 중입니다.

신규 계약직 근로자 조건
  • 근무형태: 주 4일 근무 (월~목)

  • 근무시간: 1일 8시간, 주 32시간

  • 근로계약상 소정근로일: 주 4일

  • 주 15시간 이상 근로하므로, 월차 지급 대상자

🔹 내부에서 논의된 이슈

해당 근로자가 1개월 개근했을 때,

  • 기존 근무자와 동일하게 11개 지급

  • 한 달 근로시간 총합(예: 11일 개근 × 6.4시간 = 약 70.4시간)을 정규직 기준 1일(8시간)로 나누어 8.8일or 15일 개근 x 6.4시간 = 약 96시간을 정규직 기준 1일(8시간)로 나누어 12일이 맞는가

🔹 확인 요청드리는 사항
  1. 단시간 근로자에게 월차(또는 연차)를 부여할 때,

    • 그 사람의 소정근로일 기준으로 ‘1일’을 적용하여 총 11일을 부여하는 것이 법적으로 맞는지

    • 예: 계약직의 1일이 8시간이라면 → 월차 1일 = 8시간 유급휴가

  2. 또는 정규직 기준으로 환산하여,

    • 총 근무시간 ÷ 8시간 = 일수(예: 70.4시간 ÷ 8 = 8.8일) 방식이 허용 가능한지?

해당 내용이 너무 헷갈려 문의드립니다.

기존 근무자와 동일하게 1개월 만근 시 1개 지급 (1년일 경우 총 11개 지급)이런식으로 진행해야될지

아니면 보내드린 해당 계산식으로 진행해야될지 문의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발생하는 연차개수는 11개로 동일합니다. 다만 40시간 미만 단시근 근로자의 경우에는 연차 1개의 시간이

    8시간이 아닌 32 / 40 x 8로 계산하여 6.4시간이 되므로 11개는 70.4시간이 됩니다. 따라서 8.8개의 연차를

    부여하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근로기준법 시행령에 '사용자는 단시간근로자에게 법 제60조에 따른 연차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유급휴가는 다음의 방식으로 계산한 시간단위로 하며, 1시간 미만은 1시간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통상 근로자의 연차휴가일수×(단시간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통상 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8시간

    이에, 질문자님의 경우 6.4시간 x 11일 로 71시간의 연차휴가를 부여하면 될 것이며, 소정근로일에 대하여 8시간을 사용하였다면 8시간을 차감 후 추후 나머지 연차휴가를 시간 단위로 부여 및 관리하시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단시간 근로자에게는 근로시간에 비례한 연차를 부여하시되, 동일하게 11일은 맞으나

    그 일에 대한 시간 가치가 다릅니다.

    가령, 하루 8시간 근무를 주 3일 근무하는 근로자는 주 24시간 근무를 하므로

    8시간치가 아니라, 근무시간 비례하여 60%에 해당하는 4.8시간을 부여합니다.

    따라서 4.8시간치가 11일 부여되는 것이기 때문에, 1일을 사용한다고 하여

    하루를 온전히 쉴 수 있는 게 아닙니다.

    그러므로 단시간 근로자는 연차를 일 단위로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 단위로 관리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11일 연차 있다가 아니라, 11일 X 4.8시간 = 52.8시간 > 53시간 올림 연차가 있으니

    8시간짜리 연차는 6일, 4시간 반차는 1일 사용하고 잔여연차 1시간 인정하여 관리하여야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