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세심한테리어2
세심한테리어223.10.31

물을 끓일때 열이 먼저 가해지는 바닥부터 공기방울이 형성되는이유

물을 끓이면서 냄비바닥을 보면 작은 기포부터 시작해서 물이 가열될수록 큰기포로 바뀌어 밖으로 나가게 됩니다. 물 붓기만해도 평온하고 아무것도 없는 물인데 끓일때 갑자기 생겨버리는 이 공기방울, 어디서 이 공기가 들어온걸까요? 아니면 열이 가해지면서 분자운동이 강해져 물성분을 밀어내는과정인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끓을 때 생기는 기포의 원인은 물속에 미세하게 녹아 있던 공기가 열에 의해 가열되어 기포가 되기 때문입니다. 물은 공기를 약 1% 정도 녹일 수 있는데, 이 공기는 물속에 녹아 있지만, 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미세합니다. 물을 가열하면 이 미세한 공기가 열에 의해 가열되어 기포가 되고, 냄비 바닥에서부터 올라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을 끓일 때, 열이 먼저 가해지는 바닥부터 공기방울이 형성되는 이유는 물의 끓는점과 기포 형성에 관련이 있습니다.

    물의 끓는점은 해수면에서 약 100도 섭씨입니다. 끓는점 이상의 온도에서는 물이 기체 상태로 전환되며, 물 분자들이 빠르게 이동하고 수증기로 변합니다.

    끓는점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물 분자들이 충분한 열을 흡수하여 분자 운동이 증가해야 합니다. 따라서 물을 가열할 때, 열은 먼저 바닥부터 전달되어 물 분자들을 빠르게 움직이게 합니다.

    또한, 바닥에서 열이 전달되면 물 분자들은 열을 받아들여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이때 물 분자들 중 일부는 표면에서 빠르게 증발하여 기포 형태로 변합니다. 이 기포는 물의 표면에 공기방울로 형성되며, 끓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끓는다는것은 냄비바닥으로부터 뜨거운부분이 먼저 기화되어 수증기가되고 기체상태가된 물분자들이 기포를 이루어 물 표면 위쪽으로 올라와 터지는것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닥면이 온도가 올라가 그 부근의 물이 기화되어 바닥면의로부터 기포방울이 올라오는거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끓으면서 액체에서 기체로, 즉 수증기로 변화하기 때문에 기포가 형성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물의 끓음이라고 합니다.

    끓음은 물이 끓는점에 도달 할 때 액체의 표면에서 뿐만아니라 액체의 내부에서도 분자간 인력을 끊고 기체로 되는 현상입니다.

    액체인 물의 경우, 끓는점에서 기화되어 수증기로 변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