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지나치게설레는풍선껌
지나치게설레는풍선껌

만3세 자주 우는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만 3세가 된 여자 아이를 두고 있습니다. 친구들하고도 잘 놀고 애교도 많아 주변 어른들의 예쁨도 많이 받습니다. 하지만 친구들과 놀다가 조금만 부딪히거나 넘어지거나 사소한 갈등 문제가 생기거나 자신의 생각대로 따라주지 않으면 눈물을 뚝뚝 흘리며 큰 소리로 심하게 우는 편입니다. 그 빈도도 다른 아이들에 비해 잦은 편입니다. 한번 울면 달래기도 쉽지 않고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한번 울면 10분정도 우는 것 같습니다. 저는 알려져 있는 육아 지식에 따라 예전부터 평소에 아이가 울면 진정될때까지 조용히 아이를 마주보고 손을 잡고 기다렸다가 아이 마음을 읽어줬습니다.
아이는 굉장히 겁도 조심성도 많고, 성격이 급하며 기질적으로 예민한 아이라서 육아하는 데 무엇하나 쉽지는 않았습니다.
그리고 한국인인 저와 중국인 아빠에서 태어나 현재는 중국에서 생활하고 있고, 1년째 중국 유치원을 다니고 있습니다. 혹시 자신의 생각과 마음 상태를 언어로 표현하기 힘들어서 그런걸까요? 아이 아빠는 평소 너무 바빠서 저와 한국어로 생활하는 시간이 월등히 길기 때문에 중국 아이들에 비해서는 중국어 실력이 떨어지긴 합니다. 평소 등원도 잘하고 수업에도 적극 참여한다고 담임선생님께 들었고, 저희 부부가 가장 걱정했던 원내에서의 언어적인 문제도 걱정하실 필요는 없는 정도라고 들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평소에도 고민하고 있었던 위의 문제들을 최근에 담임선생님께서 제게 말씀해주시면서 상황을 간과해서 안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뭐가 문제이며 제가 더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마다 타고난 성격이나 성향이 다릅니다 조금 더 예민한 아이인 경우 같은 상황이라도 받아 들이는 감정의

    깊이는 다릅니다

    언어 소통은 잘 된다고 하니 유치원 생활을 별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아이는 울고 소리 질러 불편하거나 불안한 것들을 해결 한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는 불편한 것들이 있으면 아이의 마음을 읽어 아이가 말 하지도 않았는데 해결 해주는 걸 하지

    말아야 겠습니다

    아이에게 너가 울면서 이야기 하면 너의 불편한 것들을 해결 해 줄 수 없다고 단호 하게 이야기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울지 말고 이야기 해야 엄마가 알아 듣을 수 있다고 교육 시켜야 하겠습니다

    처음 부터 잘 되지는 않습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평정심을 유지 한 채 아이에게 이야기 하는 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만3세 아이가 자주 우는 경우 원인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세요. 배고프거나 피곤할 때 우는 경우가 많으니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치고 안정감을 주도록 해주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자주 우는 이유는

    욕구불만, 스트레스, 불안감, 심리적인 원인으로 인해서 다양합니다.

    우선은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는 것이 먼저 일 것 같아요.

    하지만 아이가 친구와 마찰이 생기면 큰소리도 우는 이유는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미숙하기 때문이고, 또한 아이의 기질이 고집이 조금 센 편이라면 친구와 상호작용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아이에게 친구와 의견이 달라 갈등이 생기면 우는 것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긴 보다는 언어로 조곤조곤 부드럽게 자신의 감정을 전달해야 하는 것이 옳음을 인지시켜 주는 것이 좋겠구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주기 위한 좋은 활동은 역할극 입니다.

    역할극을 통해 상황에 맞는 행동.언어.제스처 그리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을 알려주면 되겠습니다.

    아이의 고집이 조금 센 편이라면 친구의 의견을 존중하고 친구를 배려하고, 존중하고, 친구의 마음을 이해하고 친구의 감정을 공감하며 사이좋게 놀이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