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3.09.11

우리나라에 해달이 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여서 많은 바다 생물이 살고 있는데요. 바다 포유류 중에 해달이 우리나라에 살고 있다는 얘기는 들은 적이 없습니다. 우리나라에 해달이 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달은 추운 지방의 바다에서 서식합니다. 한국의 수온은 따뜻한 편이라 살기 어렵습니다.


    해달은 현재 멸종된 바다밍크(Neovison macrodon)와 마찬가지로 족제비과에 속하는 동물입니다. 족제비과에는 13종의 수달류 동물과 족제비류, 오소리류, 밍크류 등의 육상 동물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족제비과 동물이면서 은신처나 소굴을 파지 않고, 제 기능을 하는 항문선이 없다는 점에서 해달은 특이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수달류의 동물은 대부분 민물에 서식하지만, 해달과 바다수달(Lontra felina)은 특이하게 해양 연안에 서식합니다.

    아주 추운 바다에 사는 생물에게 어울리지는 않지만 해달매우 (sea otter; Enhydra lutris)은 매우 귀엽게 보입니다. 전 세계에서 만들어지는 수많은 달력에서는 귀여운 눈으로 쳐다보는 모습의 사진이 의외로 많습니다. 그것도 그럴 것이 검게 반짝이며 광택이 나는 피부에다 호기심이 많아 보이는 검은 눈동자, 하늘을 향해 여유롭게 누운 모습으로 배에 올린 먹이를 까먹는 모습 등등 환경보호활동가나 마케팅 담당자들도 해달의 마력 앞에서는 무릎을 꿇습니다. 그리고 속명 Enhydra의 어원은 그리스어로 '물속'이라는 뜻이며, 종명은 라틴어 lutris로 '수달'이라는 뜻입니다 . 옛날에는 "바다비버"라고 불린 적도 있었다고는 하지만 비버와는 근연관계가 먼 동물입니다.


    맨 처음 해달에 관심을 가졌던 사람들은 다름아닌 모피사냥꾼이나 거래상들이었습니다. 해달의 놀랄 정도로 따뜻하고 부드러운 모피는 극한의 바다에서 살아가는 걸 가능케 하는 매우 중요한 적응형태의 산물이었습니다. 차가운 북태평양에서만 사는 해달의 아종은 E. l. lutris , E. l. nereis , E. l. kenyoni이 있으며, 이들은 오랜 세월에 걸쳐 러시아 북쪽해안에서 베링해협을 넘어와서 내려와 북미의 서해안까지 분포를 넓힌 것들입니다. 이 해역을 흐르는 캘리포니아 해류는 남으로 계속 흘러서 영양이 풍부한 물을 가져가 거대한 생산력의 근원이 됩니다. 자이언트 켈프(Ginat kelp)라고 하는 세계에서 제일 큰 해조는 이곳의 차가운 바닷물에서 하루에 30cm나 자랄 수가 있으며, 해달은 수온이 7~15℃로 낮은 켈프의 숲속에서 지냅니다. 이들보다 더 극지 가까이에 사는 해산포유류도 수십 종이나 더 있지만 해달은 매우 독특합니다. 수달(river otter)에서 진화하였는데, 몸집이 작고 지방층이 없습니다.


    커다란 몸과 단열성이 있는 두꺼운 체지방은 차가운 물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기본 중의 기본인 조건이라서, 이런 적응기구를 갖고 있지 못하면 고래나 바다표범이라도 얼어 죽을 겁니다. 그렇지만 해달은 이들보다 훨씬 작은 30kg 정도의 해산포유류인데, 지방이 없기때문에 단열은 오로지 모피에만 의존해 살갑니다. 그러니 모피의 보온력은 가히 상상을넘을 정도로 탁월할 것이 예상됩니다. 실제로 해달 모피 1 평방인치에는 최고 백만 가닥의 가는 털이 나 있으며, 두 개의 층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그래서 모피를 만져보면 푹신하면서 부드럽고 비단처럼 매끄럽고, 온기가 느껴집니다. 기름기가 있는 짧은 속털을 길고 강인한 바깥털이 지켜주고 있어, 물속에 있더라도 얇은 공기층을 모피 안에 가둬두게 됩니다. 공기는 뛰어난 단열재인데다가, 속털의 기름기는 물이 피부에 닿지 못하도록 해 줍니다. 해달이 한창 헤엄을 칠 적에 보면 공기방울을 볼 수가 있습니다. 해달의 이리저리 몸을 꼬면서 탄력성 있게 움직일 적에 모피로 된 망토가 은색으로 빛나는 걸 볼 수가 있는 건 바로 이 때문입니다. 두터운 모피로 따스함을 유지하는 포유류는 수없이 많지만, 해달의 모피는 특히 기능이 우수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우리 나라의 바다 대부분이 모래나 자갈로 구성됨에 따라 해달이 필요로하는 암초나 해초가 많은 연안이 구성되지 않습니다. 또한 바다의 수온이 10도 이상이 되는 환경에서 서식하게 되는데 우리 나라는 실제로 이러한 온도를 가지는 기간은 여름철 잠시 뿐임에 따라 온도 조건 또한 해달이 서식하는데 맞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우리나라에는 해달이 살고 있지 않습니다. 해달은 체온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따뜻한 바닷가에서 주로 살고 있는데 우리나라 환경과는 맞지 않지만 일본에서는 이 환경이 맞다보니 일본에서 해달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우리나라에 해달이 살지 않는 이유는 크게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우리나라의 해양 환경이 해달이 살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의 해양은 연중 수온이 낮고, 조수간만의 차가 크며, 파도가 큽니다. 이러한 환경은 해달의 주요 먹이인 조개류와 해초류의 서식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둘째, 우리나라의 해양 생태계에 해달이 자리잡을 수 있는 기회가 없었습니다. 해달은 북극해, 북태평양, 북대서양 등 북반구의 온대와 한대 해역에 분포하는 동물입니다. 우리나라는 해달의 분포 범위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해달이 우리나라에 들어올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물론, 최근에는 기후 변화로 인해 우리나라의 해양 환경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수온이 상승하고, 조수간만의 차가 줄어들고, 파도가 작아지는 등 해달이 살기에 적합한 환경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우리나라에 해달이 서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2022년 8월,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해달의 흔적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해달이 발견된 최초의 사례입니다.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와 해양 생태계 변화로 인해 해달이 우리나라에 서식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달은 우리나라 해안지역에서 주로 서식하는 동물 중 하나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서해와 동해 연안에서 해달의 서식지가 많이 발견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달은 주로 차가운 해양에서 서식하는 동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의 남해, 동해, 서해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해역으로 알려져 있어 해달이 선호하는 서식지 조건과는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해달은 주로 북방지역인 북극, 서북태평양, 서북대서양 등에서 발견되는 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분포 패턴으로 인해 한국 해역과는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 해달이 우리나라 주변 해역에 서식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해달의 식생은 주로 어류와 갑각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한국의 해역에서는 다양한 수족관과 어류 자원을 가지고 있지만, 해달이 선호하는 주요 먹이인 어류와 갑각류의 생태적 조건과 먹이원의 가용성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한국 주변 바다에는 다양한 바다 생물이 살고 있지만 해달은 주로 북태평양 지역에 서식하는 동물로, 한국 주변 해역은 그들의 주요 서식지가 아닙니다. 해달이 한국 주변에 살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후와 해수 온도: 해달은 주로 차가운 물에 서식하며, 북태평양 지역의 차가운 해역이 주요 서식지입니다. 우리나라 주변 해역은 비교적 미온적인 해수 온도를 가지고 있어 해달이 적응하기 어려운 환경입니다.

    2. 해달의 이동성: 해달은 계절에 따라 이동성을 띄며, 주로 미국 알래스카와 시베리아 지역에서 번식하고 한국 주변 해역으로는 드물게 이동합니다. 이러한 이동성은 해달이 우리나라 주변에서 지속적으로 서식하는 것을 어렵게 합니다.

    3. 경쟁과 서식지 환경: 한국 주변 해역에는 다른 해양 생물들과의 경쟁과 서식지 환경의 변화 등 다양한 생태학적 요인이 해달의 서식을 어렵게 만듭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해달이 적응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요약하면, 해달이 한국 주변에서 서식하지 않는 이유는 기후, 해수 온도, 이동성, 경쟁과 서식지 환경 등 다양한 자연적 요인과 환경적 제약 때문입니다. 해달은 주로 북태평양 지역에서 발견되며, 해당 지역에서 서식에 적합한 환경을 찾아 이동하고 번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 해달이 살지 않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우리나라의 해안 지형이 해달의 서식 환경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해달은 주로 암초나 해초가 많은 연안에서 서식하며, 먹이인 게와 조개 등을 잡아먹고 살아갑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해안 지형은 대부분 모래나 자갈로 이루어져 있어 해달이 서식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둘째, 우리나라의 해양 환경이 해달의 서식 환경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해달은 연평균 수온이 10도 이상인 온대성 해역에서 서식하며, 수심이 10미터 이내의 얕은 바다에서 먹이를 찾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해양 환경은 연평균 수온이 10도 이상인 기간이 짧고, 수심이 10미터 이내의 얕은 바다는 밀물과 썰물의 영향으로 먹이가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우리나라에는 해달이 자연적으로 살지 않게 되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11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달은 주로 차가운 북방 해역에서 번식하고 사는 동물입니다. 우리나라의 남쪽 해안은 온난한 기후와 얕은 바다가 특징이며, 이러한 조건은 해달이 적합한 서식 환경이 아닐 수 있습니다. 해달의 분포 범위는 주로 일본, 러시아, 중국 등의 동북아시아 지역으로 한정되어 있습니다. 그들의 분포는 지리적인 요인과 생태학적인 요소에 의해 결정되며, 우리나라와 인접한 지역에서는 보다 적게 나타납니다 그리고, 해달은 교란된 자원 및 식량을 피하기 위해 계절적으로 이동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떠내려온 식물 부유물 등을 찾기 위해 넓은 영역을 이동하며, 때문에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를 활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