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 사태는 왜 발생한 건가요?
미국 연방정부의 일시 업무 중단 사태로 인해서 미국 내 대표 관광지들이 문을 닫았다고 합니다.
2주 가까이 관련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고 하는데..
왜 이런 사태가 발생하게 된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내년도 예산안이 통과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처럼 여야당이 있다고 할 때 여당이 제출한 나라 살림살이 예산안을 야당이
처리해주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한 이유 때문에 미국 정부는 현재 한푼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즉 셧다운이 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연방정부의 셧다운은 의회에서 정부 예산안에 합의하지 못해 발생합니다.
이 경우 연방정부의 업무가 중단되고, 공무원은 무급 휴직 상태에 들어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은 의회가 예산안을 제때 통과시키지 못해서 생긴 일입니다. 미국은 행정부가 임의로 돈을 쓸 수 없고, 의회가 승인해야 공무원 급여나 공공 서비스 운영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여야가 세금, 복지, 국방 예산 등에서 의견이 갈리면 협상이 지연돼 예산이 멈추는 겁니다. 그러면 비필수 인력은 무급 휴가에 들어가고, 국립공원 같은 공공시설이 문을 닫게 되는 거죠. 정치 갈등이 길어질수록 경제에도 부담이 커집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회계연도가 시작하기 전까지 의회에서 정부 예산안을 통과시켜야 하는데, 이 예산안을 두고 여당과 야당이 합의에 이르지 못하거나, 특정 정책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시한 내에 처리되지 못할 때 셧다운이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연방정부 셧다운에 대한 내용입니다.
셧다운이 발생한 것은 바로
민주당과 공화당이 2026년 정부 예산에 대해서
합의하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 80년대부터 20여 차례 이상 연방정부 셧다운이 있었고 주요 원인은 양당의 예산안 합의 실패입니다. 연방정부를 운영하기 위한 예산 확보를 못하니 아예 문을 닫는 것입니다. 가장 긴 셧다운이 60여일이어서 금번 셧다운은 10월 중 해결 될 듯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이 발생한 이유는 한해 예산의 통과가 주어진 시간내에 이뤄지지 못해, 이러한 업무의 마비가 온것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서명을 하면 되는 상황은 아니며 예산에 대한 것을 합의를 봐야 하는데, 합의자체가 되지 않아서, 매년 10월부터 다음해 9월까지의 예산이 확정이 되지 않아서 발생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행정이 마비가 된 것이라 볼 수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