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를 올리면 왜 물가가 잡히는 건가요?
엔데믹에 접어들면서 세계 여러나라에서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는데, 금리와 물가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금리를 올리면 왜 물가가 잡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올려 은행에서 시중의 돈을 빨아들여
이에 따라서 시중의 돈이 줄어들어 물가가 잡히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올리면 사람들은 소비보다 저축을 더 하게 되고, 기업은 대출 부담이 커지니 아무래도 투자를 줄이는 등 시중에 도는 통화량을 줄이면서 자연스레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올리는 것은 물가를 조절하는 주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금리가 올라가면 소비와 대출 비용이 증가하여 소비와 투자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수요가 축소되고 통화 가치가 상승할 수 있으며, 이는 물가 상승 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가 높아지면 기업들의 투자가 줄어들고 생산 및 공급이 감소하게 되어 물가 상승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러 가지이며, 각 국가의 경제 상황과 특성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올리게 되면 가계의 경우는 대출이자의 부담이 늘어나 소비를 줄이게 됩니다. 또 기업의 경우도 동일하게 투자를 줄이 됩니다. 가계의 소비의 감소, 기업의 투자의 감소는 곧 실업률의 상승으로 이어지고 물가의 상승폭은 감소하게 됩니다.
즉 금리의 인상으로 물가의 급격한 상승을 감소 시키고 시장을 안정화 시킬 수 있습니다. 금리의 인상은 경기과열을 시키는 물가는 잡는 역활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올린지도 한참이나 지났는데 안떨어지고 있습니다
금리를 올리면 소비가 줄어 장사하는 입장에서는 가격경쟁을 합니다만
오히려 가격을 유지하거나 더 올리는 현상입니다
집도 그렇고 계란값이나 밀가루 등 다 그러네요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올리게 되면, 불안정한 투자 보다는 안정적으로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예금이나 적금에 돈이 몰리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시중에 풀려있는 통화가 줄어드는 효과가 생기기 때문에 물가가 잡히게 됩니다